『제호시화(霽湖詩話)』에 나타난 조선중기 시론(詩論)의 특징과 비평사적 의미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문고전연구 / 31권
ㆍ저자명 : 하정승 ( Jung Seung Ha )
ㆍ저자명 : 하정승 ( Jung Seung Ha )
한국어 초록
梁慶遇는 조선중기 선조조에서 광해군 때까지 활동했던 문인이다. 그가 지은 『제호시화』는 17세기에 간행된 시화집들 중에서도 의미 있는 저작이다. 우선 비평의 내용적 측면에서 볼 때, 기존의 시화비평에서는 잘 이뤄지지 않았던 한시의 형식적인 부분과 운율적인 부분을 다루고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 한국의 한시비평사에서 한시의 형식이나 운율을 다룬 시론은 18세기 신경준에 가서야 본격적으로 이뤄진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제호시화』는 매우 선구적인 영역을 개척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우리 문학사에서 16세기 후반 이후로 유행했던 시풍인 당시풍 한시에 대한 심도 있는 비평을 하고 있다는 점도 중요하다. 시기적인 면으로 볼 때에도 『제호시화』는 조선전기인15~16세기와 조선후기인 18~19세기의 중간에 위치하여 한시비평사의 다리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도 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제호시화』는 양경우 當代의 시인들과 작품들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 역시 주목할 만하다. 이것은 일반적인 다른 시화집들이 前代의 시인들 중심으로 기술된 것과 매우큰 차이점이다. 이로 보면 『제호시화』는 한국한시비평사에서 본격적인 當代批評의 출발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제호시화』를 내용에 따라 분류해 보면 용사의 문제, 시의 격률, 압운법,평성·측성의 사례, 詩體, 작시에서 시어의 중요성, 개별 시인들에 대한 시평등으로 크게 나눠볼 수 있다. 여기에서 개별적인 작가들에 대한 시평을 제외하면 용사론, 시어론, 시체론, 격률론, 음운론, 성조론으로 내용이 요약된다. 기존의 시화집들과 비교해 보면 용사론과 시어론, 시체론 등은 기존 비평집의 체제를 계승한 측면이 강하고, 격률론, 음운론, 성조론 등은 기존의 시화집에서는 많이 다뤄지지 못했던 이례적인 비평방법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제호시화』에 나타난 양경우 시평의 특징을 ①시적 형용과 시어의 강조, ②點化와 剽竊과 같은 용사론에 대한 문제, ③시의 格調와 聲律論,④唐風에 대한 강조와 심미비평 등 몇 가지 측면으로 세분하여 고찰해 보았다. 이상의 논의들 중 상당 부분은 사실『동인시화』등 기존 시화집들에서 주요하게 다뤄져 왔던 쟁점들이다. 하지만 당시와 용사의 문제, 송시의 대표자인 소동파 시의 失處, 향렴체 등 당시풍 시의 특징에 대한 사항은 기존의 시비평과 비교했을 때 논의의 수준이 상당히 진일보한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압운법, 격률론, 평성·측성에 대한 논의 역시 기존의 논의들에 비하여 훨씬세분화되고 구체화된 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요컨대 『제호시화』는 전통적인 시비평의 방법을 계승하고 그 위에 저자 나름의 안목과 식견을 더하여 새로운 비평의 방법까지 창출해 내었다는 비평사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영어 초록
Yang Kyong-Woo was the influential writer who has worked in the age of King gwanghae to King seonjo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Jehosiwha(霽湖詩話)』written by him is significant book published in the 17C. It is unique that this book deals with form and rhythm.『Jehosiwha(霽湖詩話)』 deserves to be praised for playing a leading role in the history of Chinese poetry criticism in Korea. Next, 『Jehosiwha(霽湖詩話)』 is important because it commented in depth over on the Tang’s poetical style of Chinese poetry, which had been in fashion for much of the end of the 16C. This book is like a bridge linking between the early years of the Chosun and the late of Chosun Dinasty. Lastly, it is noteworthy that 『Jehosiwha(霽湖詩話)』 focuses on poets and works of the time. This book is a new starting-point of criticisms of the day. I categorize 『Jehosiwha(霽湖詩話)』 by content; Yongsa(用事), Siche(詩體), versification, rhythm, rhyme, poetry criticism. It is similar in some ways to a traditional criticism with regard to Yongsa(用事), Siche(詩體), versification. But discussing rhythm and rhyme in poems is unusual criticism method. In this thesis, characteristics of poetry criticism of 『Jehosiwha(霽湖詩話)』 are as follows; ① poetical rhetoric and emphasis on poetic words. ② Yongsa(用事), the use of past events which includes Jumwha(點化), chiseling in poetic terms. ③ rhythm and rhyme. ④ the Tang’s poetical style of Chinese poetry. These subjects are several key issues which are dealed with in 『Dongin-siwha (東人詩話)』. Still, it’s discussions not only took a step forward but are also segmented and concrete. In short,『Jehosiwha(霽湖詩話)』succeeds to method of the traditional poetry criticism and creates new brand ones. So it has a historical significance in poetic criticism history.참고 자료
없음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양경우 제호시화 정리 19페이지
"한문고전연구"의 다른 논문
연행노정 공간의 역사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일고 -< 스토리테마파크 >의 스토리를 활용한 "병자호란 ..47페이지
안축(安軸)의 「관동별곡(關東別曲)」과 송사(宋詞)의 비교연구를 통한 경기체가(景幾體歌)의 형성과정..23페이지
19세기 성호학파(星湖學派) 문인의 문물 고증과 기록, 『동사일지(東事日知)』30페이지
설교(雪橋) 안석경(安錫儆)의 시에 대한 인식과 시세계 연구34페이지
"어조사(語助詞)"의 정의와 문법적 의미범주에 관한 소고(小考) -2009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을 중..27페이지
이사룡(李士龍)의 춘추대의에 대한 가치와 시대적 의미26페이지
설교(雪橋) 안석경(安錫儆)의 산수와 문학 -유기(遊記)와 관련 장르와의 비교를 중심으로-26페이지
역사 속 인물의 한중(韓中)비교 연구 -전횡(田橫)을 중심으로-34페이지
『대학(大學)』의 인용(引用) 시(詩) 연구(硏究) -집주(集註)와 소주(小註)를 중심으로-28페이지
안석경(安錫儆)의 산문(散文) 비평(批評) 특징(特徵)과산문(散文) 교육(敎育)으로서의 활용성(活用..2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