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ㆍ수록지정보 : 교육연구 / 25권 / 3호
ㆍ저자명 : 김대현
ㆍ저자명 : 김대현
목차
Ⅰ. 들어가기Ⅱ. 교과서의 활용 실제: 교과서 중심 수업과 평가
Ⅲ. 교과서 중심 수업과 평가를 하는 이유
Ⅳ. 교과서 중심 수업과 평가 방식이 미친 우리 교육에 미친 영향
Ⅵ. 나가기: 교과서 중심 수업과 평가 방식에서 벗어나기
한국어 초록
교육과정 중심의 교육을 지향해야 한다는 정부의 정책 방향과 무관하게 학교는 여전히 교과서에 기반을 둔 수업과 평가를 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교과서 중심의 수업과 평가의 여러 방식을 제시하고, 이들 방식이 지속되는 이유를 교과서 관련 법령의 지나친 규범성, 교과서 내용의 과다와 학생 수준과의 괴리,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무관심, 학부모와 학교관리자의 왜곡된 인식과 제반 여건의 미비에서 찾았다. 또한 교과서 중심 수업과 평가는 전국의 동학년 학생들에게 공통 내용의 학습을 가능하게 하고, 교사들 간의 수업 차이를 줄임으로써, 지역이나 학교 간의 교육 격차를 낮추는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다주는 이점이 있지만, 학생을 학습의 객체로 전락시키고, 교과서 내용이 유일한 진리라는 정답주의 편견을 심어주며,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해치는 약점이 있다. 이런 이유로 교육과정 중심의 수업과 평가 방안을 제시하고 국가, 학교, 교사 차원에서의 지원 대책을 간략히 제시하였다.영어 초록
Though the government's education policy pursued curriculum based instruction, the actual instruction and evaluation in Korean schools were still being implemented based on textbooks. This paper presented several ways of textbook-centered instruction and evaluation. The reasons why teachers give lessons and evaluate outcomes based on textbooks are as follows : excessively normative legislations on school textbooks, too much contents and the gap between textbooks and student's developmental level, teacher's lack of concerns over the curriculum, blind faith in textbooks by the parents and school administrators and non-supportive environment for teachers to conduct curriculum based instruction. Textbook-centered instruction and evaluation were beneficial in the sense that it enabled all the same-grade students in the nation to learn the same contents and helped narrow the gaps of education level among schools or regions by reducing the differences of teacher's instruction. However, in the environment where instruction and evaluation relied too much on textbooks,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was neglected, student's opportunity to be active and enthusiastic in learning was decreased and there was a high possibility that a kind of misconception that textbook was always right can be instilled to students, which made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think critically. Based on the results through this study, suggestions on how the curriculum based teaching and evaluation could be realized and what could be done in the level of nation, school and teacher were presented.참고 자료
없음태그
"교육연구"의 다른 논문
고졸 취업자들의 근무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를 중심으로20페이지
통합교육환경에서 영어 교과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 모색16페이지
고등학교 사회․문화 교과서의 계급과 계층에 관한 내용 분석27페이지
한국인 용기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20페이지
혁신유치원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부산․경남 공사립유치원교사를 중심으로33페이지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 대인관계유능성, 자기조절학습능력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21페이지
초등학교 부장교사의 교직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27페이지
실내디자인 전공 교육에 관한 학생 만족도 연구18페이지
특수교사의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20페이지
사교육 수요유발 요인과 대책의 논리2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