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자조각]역사적,기법적,주제적 기준을 중심으로
- 최초 등록일
- 2016.01.17
- 최종 저작일
- 2014.12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도자조각의 의미
2. 도자조각의 용어 발생 계기
3. 도자조각의 재료와 기법
4. 도자조각 작가의 역사적 분류
1) 도자조각의 역사 (1950 - 1980)
(1) 1950
(2) 1960~1970
(3) 1980
2) 한국 도자조각과 도자조형의 역사 (1960 - 2000)
(1) 1960
(2) 1970~1980
(3) 1990
(4) 2000
5. 도자조각 작가의 기법별 분류
1) 주입성형 기법
(1) 브라이언 벤퍼
(2) 백진
2) 코일링
3) 3D 프린팅
(1) 미셸 에단
6. 도자조각 작가가 다루는 주제별 분류
1) 인체를 주제로 작업한 작가
(1) 이윤희
(2) 로니트 바랭가
2) 동물을 주제로 작업한 작가
(1) 웬디 웰그레이트
(2) 전상희
(3) 주후식
3) 작은 조각을 주제로 작업한 작가
(1) 브라이언 벤퍼
(2) 유경 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Ⅴ. 도판
본문내용
Ⅰ. 서론
최근 현대인들에게 도자라는 것은 더 이상 그릇의 용도에 국한되어 있지 않고 예술품으로서의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심지어 원래의 용도에서 벗어나 작가의 생각이나 의도에 따라 예술품으로 인정받기도 한다. 현대 도자의 오브제화에 대해서 알아보다가 도자조각이라는 용어를 알게 되었고 좀 더 그 의미와 배경을 생각하여 탐색하게 되었다. 왜 도자에서 그러한 부분이 발전하였을까. 작가의 생각을 드러내고 자유롭게 표현하는 것에 있어서 변형이 자유로운 흙이 잘 맞아 들었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 우리는 조각이라는 3차원적 입체 형상을 조형하는 예술이 어떻게 현대에 있어서 도자와 접목되어 있는지, 도자조각의 정의와 용어의 계기, 그리고 활동하는 작가들을 세 가지 기준으로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첫 번째로는 역사적 기준으로, 두 번째로는 도자 기법별로, 세 번째로는 작가가 다루는 주제별로 인체, 동물, 작은 조각으로 분석하였다.
Ⅱ. 본론
1. 도자조각의 의미
‘도자조각’이란 조각과 도예의 접목으로 생겨난 새로운 합성어로써 ‘도조‘라고도 한다. 도자조각은 그릇으로써의 실용성을 거부하고 심미성을 강조하는 장르로써 조형성이 강한 입체작품을 의미한다. 또한 이는 다른 재료의 조각에 비해서 색채와 형태가 다양하며 흙이 주는 부드러움과 유약이나 안료에서 생겨나는 다양한 색상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전에는 도자 조각이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았으나 현대로 접어들면서 새로운 영역으로 탄생하게 되었고, 도조의 특수성은 도자조각이 현대도자 속에서 다른 장르로써 인정받게 된 중요한 이유가 되었다.
2. 도자조각의 용어 발생 계기
도자조각의 용어는 세계 2차 대전 이후에 미국에서 도예와 조각의 합성어로 생겨났다. 미국의 유명한 조각가이자 도예가인 ‘피터 볼커스’가 처음으로 명명하고 사용했다. 추상 표현주의가 유행했던 당시의 상황과 그의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사고 속에서 전통 공예의 정설에 대한 탈출로 탄생하게 된 도자 조각은 도예의 활동범위를 넓히면서 도예의 발전에 도모하였다.
참고 자료
최정봉 저 : 『전통도자와 현대도자의 조형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 2002
이명아 저 : 『조형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학위논문 2003
최공호 저 : 『한국현대공예사의 이해재원』. 1996
한봉림 · 권오훈 저 : 『도예기법』. 창미 1984
박수아 저 : 『해외 공예연구ㅣ일본 도예의 전개』. 2003
정동효 · 윤백현 · 이영희 저 『차생활 문화대전』. 2012
김병억 저 : 『도예장식기법』. 2010
http://www.brianbenfer.com/brianbenfer.html
http://yiukeunglee.squarespac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