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실 안전사고에 의한 치과위생사의 외상 경험 실태 및 예방 실천에 관한 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치위생과학회
ㆍ수록지정보 : 치위생과학회지 / 15권 / 6호
ㆍ저자명 : 최미현 ( Mi Hyun Choi ) , 배현숙 ( Hyun Sook Bae )
ㆍ저자명 : 최미현 ( Mi Hyun Choi ) , 배현숙 ( Hyun Sook Bae )
한국어 초록
이번 연구는 진료실 내 안전사고에 의한 외상 경험 실태와 예방 실천에 대해 파악하는 연구이다. 치과 병·의원에서 종사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366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최근 6개월 동안 외상 경험은 연구대상자 366명 중 307명(83.9%)이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유형으로는 전체응답자 366명 중 찔림이 294회(80.3%)로 가장 경험이 많았고 절상, 찰과상, 화상 순이었다. 외상 원인으로는 찔림의 원인이 된 기자재 중 explorer가 93명(25.4%)으로 가장 많았으며 needle이 66명(18.0%)로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절상(베임)은 blade가 36명(9.8%), 화상 원인은 sterilizer로 26명(7.1%), 찰과상 원인은 movable cart 47명(12.8%)으로 가장 많았다. 찔림 경험을 한 후 응급 처치로 알코올 솜으로 닦는 경우가 40.8%으로 가장 많았고, 응급실 방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절상(베임)을 경험 한 후 응급처치로 베타딘으로 소독하는 경우가 42.8%으로 가장 많았고, 화상을 경험 후 응급처치는 찬물로 씻는 경우가 73.0%으로 절반이 넘게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상 경험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연령, 근무경력(p<0.001), 최종 학력(p=0.006), 직위, 업무영역(p=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 실천도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외상 경험 여부(p=0.030), 연령(p=0.015)과 치과유형(p=0.003)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 외상 경험 실태와 안전사고 예방 실천에 관련된 연구를 통하여 진료실 내 안전사고 예방이 체계적인 과정으로 확립되어야 하고 정기적인 교육을 통하여 안전에 대한 중요성을 부여하여야 한다.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tual state of injuries experience and safety accident prevention in dental hygienists. This study surveyed the actual state of injuries experience caused by apparatus and materials through a self-administered survey of 366 dental hygienist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ASW Statistics 18.0. Frequency, chi-square test, t-test, one-way ANOVA were applied in this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Out of the 307 subjects (83.9%) experienced injuries in the last 6 months, and 294 subjects (80.3%) chose the stab as the most frequent type of injuries experience and it was followed by incised wound, scratch and burn. In relation to the differences in injuries experience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age, career, position, dental treatment (p< 0.001) and the education (p<0.01). In relation to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afety accident prevention practice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injuries experience, age (p<0.05) and the types of dental clinics (p<0.01). Therefore, We suggest to establish a systematic process for safety accident prevention in dental clinics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revention through continued safety education be needed.참고 자료
없음"치위생과학회지"의 다른 논문
치위생과 학생의 스마트폰 사용과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연구7페이지
요양급여비용 산정기준의 지식수준과 건강보험 실무적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10페이지
β-Gluconsan Calcium이 구강암 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6페이지
치위생(학)과 학생의 감성지능과 자아탄력성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7페이지
대안학교 고등학생의 구강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8페이지
흰 쥐의 측두하악관절 통증모델에서 Triptolide와 N-nitro-L-arginine Methy..7페이지
기혼 여성 치과위생사의 경력단절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8페이지
성인의 구강위생용품 사용 영향요인11페이지
치면열구전색 급여화에 따른 수혜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7페이지
치과위생사의 주관적 안녕감과 관련 요인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