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자동차운송업 종사자들의 고용형태에 따른 직업만족도 비교 연구
(주)학지사
- 최초 등록일
- 2015.12.08
- 최종 저작일
- 2015.08
- 11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4,0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대한교통학회
ㆍ수록지정보 : 대한교통학회지 / 33권 / 4호
ㆍ저자명 : 유헌종, 안승범
목차
서론
선행연구 검토
연구방법
분석결과
결론 및 향후 연구방향
ACKNOWLEDGEMENT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화물운송업 종사자들의 고용형태에 따른 직업만족도 차이를 분석함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설문항목에 대한신뢰성·타당성 검토를 위해 신뢰성 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화물자동차운송업 종사자들의 고용형태에 따른 직업만족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신뢰성 분석과 요인분석 결과 설문항목들은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변량 분산분석 결과 비정규직과 특수형태근로 간 직업만족도 차이는 전체 항목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직업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보수/소득, 업무시간, 작업조건, 복리후생, 직장안정성 항목에서 정규직의 만족도가 비정규직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규직과 특수형태근로 간 직업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보수/소득, 업무시간, 복리후생, 건강을 돌볼 여유 항목에서 정규직의 만족도가 특수형태근로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differences of job satisfaction in road freight transportation industry workers by different types of employment. The researchers utilized reliability test and factor analysis to estimate the validity and feasibility of the questionnaire.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was also applied to assess the differences of job satisfaction level by different employment types. The results of reliability test and factor analysis clearly show that questionnaire samples are reliable and feasible. The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result shows statistical insignificance in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between part-time workers and special type on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ull-time workers and those in other types of employment. The significant variables such as income, welfare, and working hour, etc were discovered.
참고 자료
없음
"대한교통학회지"의 다른 논문
더보기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