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도덕과 교수-학습 과정의 지원 전략 및 방법에 관한 연구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12.08
최종 저작일
2015.08
27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6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수록지정보 : 도덕윤리과교육 / 48권
저자명 : 김현수

목차

Ⅰ. 서론
Ⅱ. 도덕과 교수-학습 측면에서 도덕적 창의성의 핵심 구성요소
Ⅲ. 도덕과 교수-학습을 통해 추구되는 도덕적 창의성의 하위 요인
Ⅳ. 도덕과 교수-학습을 통한 도덕적 창의성 교육의 효과성 제고 전략
Ⅴ.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도덕과 교과 교육과 관련지어 창의성의 신장에 관하여 탐색하는 연구는 도덕적 창의성의 신
장을 위한 도덕과 교수-학습 과정의 지원 전략 및 방법에 관한 탐색을 통하여 구체화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구조적 접근 및 분석을 시도하였다. 첫째, 도덕적
창의성을 창의성이 담아내야 하는 도덕적 측면과 도덕성이 지향해야 하는 창의적 특성 두 측
면을 포괄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덕적 창의성에 관한 핵심적 구성요소의 추
출을 시도하였다. 둘째, 도덕적 창의성의 하위 요인들에 관하여 학생들의 창의성 향상을 제고
하는 인지적 요인, 창의적 활동을 장려하는 정의적 요인, 창의적 활동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
어지도록 하는 환경적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이상의 요인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도덕과
교수-학습을 통한 도덕적 창의성 교육의 지원 방법 및 효과성 제고 전략에 관하여 각각의 요
인들 및 해당 요인들의 상호작용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영어 초록

Research on enhancing creativity in view of Ethics and Moral Education could be
formed by searching effective educational strategy, especially supporting strategy &
methodology for enhancing moral creativity in view of moral education process. For
that, this research tried to use structural approach and analysis as follows. First,
Moral creativity could cover both moral elements of creativity and creative
directivity of morality. Second, Sub factors of moral creativity could be categorized
by cognitive factors, emotive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Third, supporting
strategy could be approached by investigating combinations and interactions of these
factors as well as analyzing the cause and effect of each factor own.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프레시홍 - 주꾸미
  • 르네셀 화장품
도덕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도덕과 교수-학습 과정의 지원 전략 및 방법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