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소설 제재 삽화 연구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을 중심으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ㆍ수록지정보 : 청람어문교육 / 55권
ㆍ저자명 : 박기범 ( Ki-beom Park )
ㆍ저자명 : 박기범 ( Ki-beom Park )
한국어 초록
본고는 교과서의 소설 삽화가 지닌 교육적 기능을 알아보고, 앞으로 좋은 교과서 삽화를 개발하기 위한 방향을 제안해 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주요 선행 연구들을 통해 교과서 삽화는 학습자의 주의집중과 부진한 학습자의 접근성을 높여주고,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발달에도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삽화의 이러한 기능들을 직접 확인하기 위해 소설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의 발표 당시 이상이 그린 삽화와 현행 문학 교과서의 삽화들을 비교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이상의 삽화가 오래전에 신문을 통해 제한된 크기와 색상으로 표현된 한계에도 불구하고 소설의 내용과 형식에 상응함으로써 적극적으로 독자와 상호작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용한 시사점을 주었다. 이에비해 현행 문학 교과서의 삽화들은 작품에 대한 학습자의 수용을 확장하거나 심화시키는 데는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는 좋은 문학 교과서 삽화의 요건으로, 문학 작품의 내용과 일치 및 조화, 시각적 경험을 통한 정서적 공감, 글로 기술되지 않은 내용 부연 및 보충, 학습자의 사고 활성화로 정리하였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교과서 검정 체제에서는 좋은 삽화가 개발되기에는 행정적 기준, 제도, 개발진의 인식과 수준이 미흡하다. 이에 본고는 좋은 교과서 삽화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편찬 방향 제시, 검정 기준의 개선, 문학교육과 디자인의 융합형 인재 양성, 삽화 전문가 양성, 개발 일정 장기화, 교과서 삽화 관련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을 제안하였다.영어 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educational function of the novel illustration in textbooks. And it proposed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goodtextbook illustrations. First, I investigated the function of the textbook illustrations by major previous studies. Next I analyzed comparing the current literature textbook illustrations and Lee Sang’s illustrations of One days novelist, Mr. Kubo. As a result, despite the limitations expressed in a more limited size and color through the newspapers long ago, it gave useful suggestions in that it corresponds to the content and form of the novel by actively interacting with readers. By comparison, the current literature textbook illustrations were evaluatedas failing to expand and deepen the acceptance of students for the work. Finally, this paper proposes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good textbook illustration such as specific directions given compilation, improvement evaluation criteria training the convergence experts of literature education and design, training illustrations experts, protracted development schedule, textbook illustrations related to database construction.참고 자료
없음태그
"청람어문교육"의 다른 논문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읽기 교육의 "자기평가" 방안 연구29페이지
국어교육에서 묘사의 개념과 방법 연구 -사고 작용의 관점에서-29페이지
결혼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 -연구 및 교육의 실태와 개선 방안-25페이지
국어 교육과 문학 교육 : 실러의 미적 교육과 소설 교육 -『미학 편지』를 중심으로-25페이지
영문 한국전래동화의 한국설화 다시쓰기 양상 -<콩쥐팥쥐 이야기>를 중심으로-34페이지
일제 강점기 보통학교 국어교과서의 식민주의 연구 -2기 보통학교국어독본에 수록된 서사물을 중심으로-27페이지
독자의 읽기 프레임 구성 과정 고찰30페이지
국어 교육과 문학 교육 : 아동문학과 인성교육의 방향29페이지
국어 교육과 문학 교육 : 설화교육 연구의 경향 검토와 방향 모색26페이지
국어 교육과 문학 교육 : 과목 중심주의와 통합적 문학 교육2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