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교육과 문학 교육 : 실러의 미적 교육과 소설 교육 -『미학 편지』를 중심으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ㆍ수록지정보 : 청람어문교육 / 55권
ㆍ저자명 : 고정혜 ( Jeong-hye Ko )
ㆍ저자명 : 고정혜 ( Jeong-hye Ko )
한국어 초록
이 연구는 실러의 『미학 편지』에 나타난 미적 교육을 바탕으로 ‘총체적 인간성의 회복’이라는 소설 교육의 목표를 확인하고 소설 교육의 방향을 분명히 하는 데 목적을 둔다. 실러는 우리 인성의 총체성을 회복하기 위해 미적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 감각 충동, 형식 충동, 놀이 충동을 설명한다. 자율성과 의존성이라는 역설적 상황에 놓인 청소년의 성장 과정은 감각 충동과 형식 충동의 조화를 이루는 과정과 유사하다. 청소년은 감각적삶에서 벗어나 형식과 규범을 내면화해야 하는 동시에 기존의 형식과 규범에서 벗어나 자유로워져야 한다는 이중적 과제에 노출된다. 그에 따라 소설을 통해 청소년들에게 교육해야 할 과제는 첫째, ‘세계의 발견’, 둘째, ‘형식의 발견’이다. 그러나 이 두 가지 방법만으로는 현대사회에서 청소년의 성장을 충분히 기대할 수 없다. 이는 청소년의 성장을 방해하는 현대 사회의 모순과 균열 때문이다. 청소년들에게는 현대 사회의 모순과 부조리를 극복하고 성장을 이루기 위한 특별한 경험이 필요한데, 소설 교육은 현실을 뛰어넘은 현실 인식을 통해 성장을 위한 특별한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영어 초록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goal and the direction of novel education on the basis of aesthetic education. According to Schiller, aesthetic education is material to recover the totality of humanity. Youth is placed in a paradoxical situation between autonomy and dependence, which is similar to the process Getting the balance between the sensuous instinct and the formal instinct. Youth should depart from the sensuous instinct and free from traditional formal instinct. Therefore novel education should provide to youth ‘The discovery of the world’ and ‘The discovery of format.’ And Youth requires a special experience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s and absurdities of real. Novel education can provide a different gaze as a special experience.참고 자료
없음태그
"청람어문교육"의 다른 논문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읽기 교육의 "자기평가" 방안 연구29페이지
교과서 소설 제재 삽화 연구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을 중심으로-31페이지
국어교육에서 묘사의 개념과 방법 연구 -사고 작용의 관점에서-29페이지
결혼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 -연구 및 교육의 실태와 개선 방안-25페이지
영문 한국전래동화의 한국설화 다시쓰기 양상 -<콩쥐팥쥐 이야기>를 중심으로-34페이지
일제 강점기 보통학교 국어교과서의 식민주의 연구 -2기 보통학교국어독본에 수록된 서사물을 중심으로-27페이지
독자의 읽기 프레임 구성 과정 고찰30페이지
국어 교육과 문학 교육 : 아동문학과 인성교육의 방향29페이지
국어 교육과 문학 교육 : 설화교육 연구의 경향 검토와 방향 모색26페이지
국어 교육과 문학 교육 : 과목 중심주의와 통합적 문학 교육2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