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 한국전래동화의 한국설화 다시쓰기 양상 -<콩쥐팥쥐 이야기>를 중심으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ㆍ수록지정보 : 청람어문교육 / 55권
ㆍ저자명 : 오윤선 ( Yoon Sun Oh )
ㆍ저자명 : 오윤선 ( Yoon Sun Oh )
한국어 초록
현재 미국에서 유통되는 영문 한국전래동화집은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출간된 영문 한국설화집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후의 영문 한국전래동화집끼리도 영향관계가 있음을 볼 수 있었다.현재 유통되는 <콩쥐팥쥐 이야기>의 6개의 영문판을 대상으로 고찰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의 설화와 비교해볼 때 영어권 독자를 위해 한국문화를 강조하려는 경향이 있지만, 잘못된 부분들도 있었다. 그리고 어린이 독자를 위해 부분적인 개작들이 있었고, 전체적으로 <신데렐라>와 많이 습합되어 한국 <콩쥐팥쥐 이야기> 고유의 화소가 많이 사라져, <신데렐라>이야기와 너무 똑같아서 지루하다는 독자평까지 나왔다. 따라서 어린이 독자를 고려하면서 최대한 한국고유의 화소를 반영하는것이 바람직한데, 콩쥐와 팥쥐의 일하기 내기담, 엄마가 환생한 암소 화소, 팥쥐와 팥쥐 엄마에 대한 정당한 응징담이 반영되어야 한다. 또한 콩쥐를 나약하게 만드는 직녀 또는 선녀들, 도깨비의 조력이나 콩쥐의 외모를 팥쥐엄마가 질투한다는 식의 언급은 현대의 어린이에게는 부적절한 내용이며, 심지어 원래 한국의 설화 각편에는 없는 화소이므로 삭제되어야 한다. 한국의 전래동화는 한국 문화의 전달체이다. 미국학교 교재에 실려 있거나, 영향력 있는 출판사가 간행한 한국 전래동화의 파급력은 매우 크다. 이 중에서 잘못된 한국 전래동화의 서사를 바로 잡는 것은 영어권 어린이 독자들이 한국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논의들이 후일 영문 한국 전래동화 뿐 아니라 한국의 전래동화 다시쓰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를 바란다.영어 초록
English versions of Korean fairytales in the United States have been influenced by the Korean folktales written in English from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o the twentieth century. Further, the English versions of Korean fairytales have influenced each other. The study conducted on the English versions of the Story of Kongjwi and Patjwi found that English versions of Korean fairytales tend to emphasize the unique culture of Korea for English-speaking readers although they were ambiguous. Moreover, they were partly adapted to children, similar to The story of Cinderella. In the process of adaptation,the unique Korean motifs have been neglected.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reflect the unique Korean motif considering children as the readers. Motifs that comprise of the tasks performed by Kongjwi and Patjwi, the incarnation of Kongjwi’s mother as a cow, and the punishment for Patjwi should be reflected in the adapted version. In addition, the presence of a fairy or goblins as assistants and the jealousy of Patjwi’s mother toward Kongjwi are inappropriately represented at present. These motifs have not originated from Korean folktales. Korean fairytales convey Korean Culture. We have to amend the incorrect narratives of Korean fairytales in English in order to make Korean culture more comprehensible to English-speaking readers.참고 자료
없음태그
"청람어문교육"의 다른 논문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읽기 교육의 "자기평가" 방안 연구29페이지
교과서 소설 제재 삽화 연구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을 중심으로-31페이지
국어교육에서 묘사의 개념과 방법 연구 -사고 작용의 관점에서-29페이지
결혼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 -연구 및 교육의 실태와 개선 방안-25페이지
국어 교육과 문학 교육 : 실러의 미적 교육과 소설 교육 -『미학 편지』를 중심으로-25페이지
일제 강점기 보통학교 국어교과서의 식민주의 연구 -2기 보통학교국어독본에 수록된 서사물을 중심으로-27페이지
독자의 읽기 프레임 구성 과정 고찰30페이지
국어 교육과 문학 교육 : 아동문학과 인성교육의 방향29페이지
국어 교육과 문학 교육 : 설화교육 연구의 경향 검토와 방향 모색26페이지
국어 교육과 문학 교육 : 과목 중심주의와 통합적 문학 교육2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