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ㆍ수록지정보 : 청람어문교육 / 55권
ㆍ저자명 : 김도남 ( Donam Kim )
ㆍ저자명 : 김도남 ( Donam Kim )
한국어 초록
본고는 독자가 읽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과정을 검토하였다. 독자가 읽기 프레임을 구성한다는 것은 읽기 행위의 토대가 되는 심리 구조체를 갖추는 것이다. 독자의 읽기 프레임 구성은 읽기 학습과 읽기 활동을 통하여 무의식중에 이루어진다. 읽기 프레임의 구성 기제는 ‘습득’과 ‘형성’이다. 습득은 독자가 ‘읽기 학습’을 통하여 읽기 관점, 읽기 방법, 구성의미, 읽기 태도 등을 외부의 도움을 받아 갖게 되는 것이다. 형성은 독자가 ‘읽기 활동’을 통하여 잠재되어 있는 읽기 관점 등을 실재화하는 것이다. 독자의 읽기 프레임 구성 과정은 획득, 확장, 다양화로 이루어진다. 획득은 읽기 프레임의 구성 요소를 익혀서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 획득은 독자가 읽기 프레임을 읽기 학습과 읽기 활동 중에 부지불식간에 갖게 됨을 함의한다. 확장은 획득한 읽기 프레임을 읽기에 활용함으로서 구체적으로 익히고, 보완하여 정교화하면서 고착화하는 것이다. 다양화는 독자가 읽기 프레임을 하나 이상 구성하여 가지는 것이다. 독자는 새로운 읽기 관점이나 방법을 마련하거나 얻게 되면 다른 읽기 프레임을 가지게된다. 독자가 무의식중에 구성한 읽기 프레임이지만 그 작용은 읽기 행위전체에 관여한다. 이 읽기 프레임 구성에 대한 실제적인 연구와 교육적 논의가 필요하다.영어 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nstruction process on the reader’s reading frame. The composing of reader’s reading frame is made completed by learning of reading and reading activity while he is unconscious. The construction mechanisms of reading frame are the acquirement due to learning of reading and the becoming from reading practice. The process of reading frame composition are divided three step: acquisition, enlargement, diversification. The acquisition is get the structural elements of reading frame by learning of reading and reading activity. The enlargement is enlarged and elaborated the elements of reading frame, and is fixed the reader’s reading activity. The diversification is constructing of reading frame more than one. If the reader obtains the new viewpoint or method of reading, then he come to get the reading frame. According to this procedure, the reader is possessed of reading frame.참고 자료
없음태그
"청람어문교육"의 다른 논문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읽기 교육의 "자기평가" 방안 연구29페이지
교과서 소설 제재 삽화 연구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을 중심으로-31페이지
국어교육에서 묘사의 개념과 방법 연구 -사고 작용의 관점에서-29페이지
결혼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 -연구 및 교육의 실태와 개선 방안-25페이지
국어 교육과 문학 교육 : 실러의 미적 교육과 소설 교육 -『미학 편지』를 중심으로-25페이지
영문 한국전래동화의 한국설화 다시쓰기 양상 -<콩쥐팥쥐 이야기>를 중심으로-34페이지
일제 강점기 보통학교 국어교과서의 식민주의 연구 -2기 보통학교국어독본에 수록된 서사물을 중심으로-27페이지
국어 교육과 문학 교육 : 아동문학과 인성교육의 방향29페이지
국어 교육과 문학 교육 : 설화교육 연구의 경향 검토와 방향 모색26페이지
국어 교육과 문학 교육 : 과목 중심주의와 통합적 문학 교육2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