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정보과학영재의 귀인성향과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에 대한 조사연구
(주)학지사
- 최초 등록일
- 2015.11.05
- 최종 저작일
- 2015.08
- 17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4,6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영재학회
ㆍ수록지정보 : 영재교육연구 / 25권 / 4호
ㆍ저자명 : 이재호, 정누리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내용 및 방법
Ⅲ. 결과분석
Ⅳ. 결 론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성별, 학년, 영재교육기간에 따른 초등 정보과학영재의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와 귀인성향의 차이를 알아보고, 귀인성향,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 ICT 역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 정보과학영재 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귀인성향의 차이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내적성향이 더 높았고 외적성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학년이 6학년보다 내적, 외적성향 모두 점수가 높았고 1년과 2년 이상 교육받은 학생들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의 차이에서 남녀 간의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5학년이 6학년보다 몇 가지 요인에서 점수가 높았다. 영재교육기간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귀인성향은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와 내적성향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외적성향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ICT역량의 하위요인인 ICT 원리에 대한 이해는 내적 성향과, SW코딩 능력은 외적성향 중 과제곤란도 요인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ICT 역량의 몇 가지 하위요인과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의 하위요인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시사점은 여학생들이 정보과학의 성취결과를 노력 귀인에 더 많은 비중을 부여하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고학년 학생들에게 정보과학에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줄 수 있는 계기가 필요하다. 그리고 정보과학영재의 선발 과정에서는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 역시 선발 요인으로 비중 있게 고려해야 하며 정보과학학습에 대한 노력에 가치를 두도록 장려할 필요가 있다.
영어 초록
This paper aims at figuring out specific characteristics of affective attitude of gifted and talented in information, predicting follow-up activities and desirable direction of learning. Based on the analysis of this paper as educational directions and suggestions for elementary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in information are as follows: First, in gender ratio of gifted and talented in information, including the fact that ratio of boys is high, there remain the previous prejudice of higher information capability and it seems that girls who depend on external factors, parents and teachers should make more efforts to help girls trust their own capability in information science and lead them to give more value to attribution of efforts for achievement in information science. Second, as grade is higher, motivation to learn information science and attitude for success in information science among sub-elements of attitude to information science, motivation to seed positive recognition to higher graders is required. Third, in screening and selecting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in information, attitude to information science should be considered as main cause and the existing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in information should be prompted to improve their attitude to information science with value on effort for information science.
참고 자료
없음
"영재교육연구"의 다른 논문
더보기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