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협력의 영향 요인에 관한 구조적 분석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10.12
최종 저작일
2015.07
25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4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교육행정학회 수록지정보 : 교육행정학연구 / 33권 / 2호
저자명 : 권순형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이 연구는 교사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특징을 분석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격적인 연구 문제 해결에 앞서, 각 학문 분야마다 혼재되어 있는 교사 협력 관점과 개념을
살펴 교사 협력의 의미를 명확히 하였고, 교사 협력의 영향 요인 분석을 위한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표집은 강원도에 배속된 전체 초등학교의 10.8%에 해당되는 45개교
1,29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 및 응답 거부 학교를 제외한 43개교
1,204명(93.3%)이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은 위계적선형모형(HLM) 분석 방
법에 따라 SPSS 18.0과 HLM 6.0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모형에 설정된 각 변인들의 기술통계 결과를 살
펴보면, 교사 협력의 하위 구성요인 가운데 책임감 요인이 가장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초모형 분석 결과 ICC 값이 5.40%로 나타났으며 교사 수준 변인들의 설명량이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 모형에 설정된 독립변인들 가운데 담임 여부, 교사의 신
뢰성향, 교사의 이타적 성향, 교사의 긍정적 피드백 등 4개의 교사 수준 변인과 학교 규모,
교사들의 전출·입 비율, 학교경영에의 참여, 성과급 경쟁에 대한 인식 등 4개의 학교 수준 변
인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school-teacher
collaboration. Before solving the issues, the collaboration’s perspectives and concepts
that are mixed in each academic fields was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teacher
collaboration, the research model was set up for the influencing factors analysis of
teacher collaboration.
Sampling of this study was sampled 1,290 teachers in the 45(10.8%) schools of the
entire school, taking into account the scale within 17 Education Support Agency in
Gang-won province. A total of 1,245 questionnaires were recovered. Except the
insincere response and non-response questionnaire section 41, the 1,204 (93.3%)
questionnaire were utilized in the final analysis. Analysis were analyzed utilizing
SPSS 18.0 and HLM 6.0, depending on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 (HLM)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describe statistics analysis of this study, The
responsibility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of teacher-collaboration sub-components
factors. In addition, the teacher-level variance appeared bigger than school-level
variance. The ratio of the variance among schools in ICC value was 0.054. This
means that the impact of school-level variable is 5.4%. Finally, Classroom-teacher,
teacher's trust propensity, teacher's altruistic tendency, teacher's positive feedback,
school size, school participation, performance-related pay competition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rough Random-Intercept Model Analysi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뮤지컬 베토벤
  • 프레시홍 - 주꾸미
  • 프레시홍 - 주꾸미
교사 협력의 영향 요인에 관한 구조적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