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의 토대로서의 삶의 내러티브에 대한 탐구
(주)학지사
- 최초 등록일
- 2015.10.12
- 최종 저작일
- 2015.09
- 33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6,2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교육학연구 / 53권 / 3호
ㆍ저자명 : 김필성, 강현석
목차
I. 서론
Ⅱ. 내러티브 탐구
Ⅲ.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 이야기하기
Ⅳ. 다시 이야기하기: 재구성 경험의 의미 창출
Ⅴ. 다시 살아내기: 재구성 경험을 통한 삶의 질적 변화
Ⅶ. 결론 및 시사점
한국어 초록
이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narrative inquiry)을 활용하여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reconstruction) 경험과 그러한 경험의 토대로서 삶의 내러티브(life's narrative)에 대해 이해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목적표집(purpose sampling)에 따라 3명의 초등 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하여 대화로
서 면담, 문서 분석 방법, FGI를 통해 현장텍스트(field text)를 수집하였다. 이들은 학교에서 나름의
위치에서 고유한 관점을 갖고 교육과정 재구성을 하고 있었으며, 삶의 내러티브가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의 은유로서 기능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 갑교사는 공부의 필요성을 제공하는 것이 교육과정 재
구성이라고 보고 ‘왜’를 중심으로 수업을 구조화며, 을교사는 교육과정 재구성을 소시민적 성향에서
벗어나고 실현 가능한 대안을 구성하기 위한 매개체로서 보고 있다. 병교사는 학생들을 둘러싼 학습
환경을 개선하는 것을 교육과정 재구성이라고 보고 있다. 세 교사의 이러한 관점은 어린 시절과 성장
기 경험 등을 포함하여 삶의 전체적인 이야기에서 일관되게 나타나는 흐름이며, 삶의 내러티브 관점
에서 이러한 세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은 자율과 관여 사이의 균형을 잡기 위해 고군분투하며
변증법적으로 독립적인 자아를 만들어나가는 이야기로 나타나고 있다.
참고 자료
없음
"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
더보기 (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