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역량기반 교육혁신 담론의 교육학적 조건
(주)학지사
- 최초 등록일
- 2015.09.04
- 최종 저작일
- 2010.01
- 40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6,9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육원리학회
ㆍ수록지정보 : 교육원리연구 / 15권 / 1호
ㆍ저자명 : 김지현
한국어 초록
다원적 세계는 각 세계의 삶의 형식에 적절한 언어게임의 양식, 즉 담론의 규칙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 역량기반 교육혁신`에 대한 교육학적 담론에 요청되는 조건을 모색해 보았다. 자율적 학문으로서의 일반적 조건`으로는 상식적 담론과 구분되는 `학문적 담론조건`, 여타의 학문적 개념이나 이론을 통하지 않고 자체의 틀로 교육을 이해하는 `교육학 고유조건`, 그리고 교육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교육의 개선을 도모하는 `교육이해를 토대로 하는 개선담론 조건`을 제시하였다. `탐구영역의 특수성에 따른 구체적인 조건`들로는 `교육의 가치와 목적 조건-역량기반교육혁신의 정당성` `교육의 소재로서의 지식 조건-역량의 성격과 위상`, `교육의 구조와 수준 조건-혁신의 대상`, 그리고 `교육발전의 기제와 평가조건-혁신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교육학 담론은 교육학이라는 삶의 세계에 적절한 담론을 구사하는 경우에만 그 고유성과 이론적 담론으로서의 의의를 가지며 동시에 교육학적 삶의 형식의 내재성과 그 가치를 정당화할 수 있다.
영어 초록
Each realm of multiple realities has its unique rules of discourse as a mode of `language game` in terms of its `forms of life`. This study examines the conditions of autonomous educational discourse which may be related to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al innovation in universities. Basically, autonomous educational discourse should satisfy such general conditions for indwelling in appropriate attitude constructing academic discipline, as well as depending on its unique and relevant theories, and innovating in educational practice that is linked to intrinsic educational theories. Furthermore, specific conditions for an educational discourse on competency based education innovation include the educational values and goals that might justify the innovative endeavors. Also, it should have the understanding of nature and status of competency as a kind of knowledge that mediates the educational interaction. The structure and level of educational activities are needed to be identified as the objects of innovation itself. The specification of the mechanisms and appropriate process of development and criteria of evaluation is must explained, too. This study concludes that participating in the appropriate language game and satisfying these conditions for an educational discourse are the indispensible requirements for the engagement in the forms of academic life of the intrinsic and autonomous educational discipline.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