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정 동백꽃 작품분석(내재론, 표현론, 반영론)
- 최초 등록일
- 2015.07.26
- 최종 저작일
- 2015.07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1. 작품선정 이유
2. 작품분석
(1) 작가론
(2) 반영론
3. 가치 및 효용
(1) 동백꽃의 가치
(2) 동백꽃의 교육적 효용
본문내용
1. 작품선정 이유
김유정의 작품을 선택한 것은, 그리고 그 중에서도 <동백꽃>의 작품분석을 하게 된 것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첫 번째로, <동백꽃>은 ‘실레마을’이라는 농촌마을을 소설의 무대로 삼고 있다. 도시생활에 익숙해진 현대인들에게 농촌이나 시골에의 생활은 간접적으로만 듣고 보았던, 어렷품히 알고 있는 이야기일 수 있겠지만, 그래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농촌마을을 떠올리면 마음 속 아늑한 곳에 존재하는 푸근한 공간을 연상할 것이다. 그리고 농촌마을에 살아본 적이 없을지라도 아마 농촌이나 시골이라는 공간에 대한 향수의 감정은 가지고 있을 것이다. 순수하고 토속적인 농촌 사회를 향토성이 짙은 색깔로 그려내고 있는 <동백꽃>은 김유정의 여러 작품 중에서도 김유정 특유의 (소박한) 인간미와 지역색이 살아있는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두 번째로, <동백꽃>에는 냉철하고 이지적인 현실감각이나 비극적인 진지성보다는, 따뜻하고 희극적인 인간미가 넘쳐흐르고 있다. <동백꽃>은 다른 김유정의 작품이 농촌사회의 모순이나 가난과 같은 어두운 현실상황을 웃을 수만은 없는 아이러니한 발상을 통해, 혹은 비참한 방식으로 드러내고 있다면, <동백꽃>에서는 직접적인 비판의 대상이나 비판의 일침도, 눈을 찌푸리고 읽어야할 만큼 처절한 이야기도 드러나지 않는다. 김유정 특유의 해학과 인간미 넘치는 시선이 느껴지며, 젊은 남녀의 풋풋한 사랑이야기라는 순수하고 따스한 서사흐름을 통해서 이 작품 속을 읽는 것이 낭만적으로 느껴지기 때문이다.
세 번째로, 나는 개인적으로 김유정을 좋아한다. 이상과 김유정에 관한 일화, 그리고 김유정이 썼던 편지를 통해서 김유정은 삶에 대한 열정과 믿음을 항상 지니고 있는 작가라는 생각을 했다. 동시대의 모더니즘 작가들이 실험적인 기법에 치중하고, 현실에 대한 고찰이나 문제의식보다 표현방법이나 정신세계에 몰두하는 모습을 보였거나, 카프문학이 비판에만 치중한 나머지 주제의 폭이나 표현방법에 있어서는 한계를 보여주었다면, 김유정은 자신만의 독자적인 문학세계와 표현방법을 가지고도 현실에 대한 사고를 멈추지 않는 작가였다고 생각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