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들의 직업가치관 구조분석: 사회네트워크적 접근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6.05
최종 저작일
2015.04
22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1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영재학회 수록지정보 : 영재교육연구 / 25권 / 2호
저자명 : 신세인, 이준기, 하민수, 이태경, 정영희

목차

I.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및 논의
IV.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한국어 초록

직업가치관은 학생들의 직업동기 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특히 지속가능한 미래 과학기
술인력 공급과 육성을 위해서 과학영재들의 이공계 직업에 대한 직업가치관 형성은 중요한 의
미를 지닌다. 이 연구는 사회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하여 중학교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의 자신
의 희망 직업과 관련된 직업 가치관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이 희망하는 직업
과 그 직업을 선택한 이유에 해당하는 직업가치관으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구조화한 후, 사회
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해 산출된 네트워크의 구조적 지표들을 바탕으로 두 집단의 인식 네트워
크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과학영재 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의 네트워크를 비교분석한 결과, 첫째,
과학영재학생들은 창의성을 가장 중요한 직업가치관 요소로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과학영재
들은 직업선택 과정에서 일반학생들보다 다양한 직업가치관 요소들을 고려하고 있었다. 셋째,
과학영재들은 이공계열과 의약계열 직업 모두에 대해서 능력발휘와 같은 자아실현 관점을 중
심으로 직업가치관을 고려했으나, 일반학생들은 사회봉사를 가장 큰 직업가치관 요소로 보고
있었다. 이 연구는 과학영재학생들의 희망 직업에 대한 직업가치관 구조가 일반학생과 많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 과학영재학생들의 진로 ? 직업을 지도하는데 있어 직업가치관과 관련
된 네트워크적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영어 초록

Students’ perceived values of career play a core role in formation of their career motivation.
In particular, science gifted students should build sound values of career in science and technology
so that our society can retain the human resources for future science and technology.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structure of science gifted and general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red job and values of career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ologically, we first
collected science gifted and general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red careers and the reasons
of the career choice using survey method. Then, we structuralize semantic networks of students’
perceived values of their preferred career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We identified the
characters of networks that two different student groups showed based on the structure matrix
indices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Findings revealed that science gifted students considered
the creativeness as the most important value of career. Second, science gifted students considered
more diverse values of career than general students. Third, science gifted students considered
the self-realization such as displaying capability as a core value of career in STEM and medical
science whereas general students considered the community service as a core value of the
careers. This study identifi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cience gifted and general
middle school students’ values of careers. The structures of students perceived values of careers
can be used for teachers to counsel their students about students’ future career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뮤지컬 베토벤
  • 프레시홍 - 주꾸미
  • 프레시홍 - 주꾸미
중학교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들의 직업가치관 구조분석: 사회네트워크적 접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