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군 북천면 지역 함티타늄광체 내 티탄철석의 산출특성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광물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광물학회지 / 27권 / 4호
ㆍ저자명 : 곽지영 ( Ji Young Kwak ) , 최진범 ( Jin Beom Choi )
ㆍ저자명 : 곽지영 ( Ji Young Kwak ) , 최진범 ( Jin Beom Choi )
한국어 초록
하동군 북천면 직전리 지역은 하동 회장암체의 최남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회장암체의 남서쪽에서 섬록암이 관입하여 나타난다. 이 지역의 회장암 및 섬록암 내에는 티탄철석 광체가 발달하고 있는데 이 중 섬록암 내의 산상은 기존의 연구에서 보고된 바 없다. 회장암 내 광체에서 산출되는 티탄철석은 단일광물로 산출되는 반면, 섬록암 내 광체에서 산출되는 티탄철석 내에는 티탄철석-산화철, 금홍석-산화철 간의 용리조직이 관찰된다. 티탄철석 내 MnO의 함량은 섬록암체 내 광체에서 2.14∼3.74 wt%로 회장암 내 광체에서의 함량보다 높게 나타나며, 사장석은 섬록암체에서 안데신(An28.7-42.9)의 조성을 보여주고, 회장암에서 라브라도라이트(An57.1-72.8)의 조성을 보여준다. 섬록암 내 광체에서 산출되는 티탄철석에서 관찰되는 용리조직은 섬록암의 관입으로 공급된 열에 의해 부분 재용융이 일어나고 냉각과정에 티탄철석이 산화철과 금홍석으로 용리된 것으로 사료된다.영어 초록
Study area (Jikjeon-ri) is located in south end of the Hadong anorthositic rocks. And along the south-western boundary, diorite intruded the Hadong anorthosite. Ilmenite ore bodies are extended in both anorthosite and diorite. And their occurrence in the diorite are not studied yet. While no particular textures are found in the ilmenite within the anorthosite, the ilmenite within the diorite shows characteristic exsolution texture, that is, ilmenite phases are separated into rutile and Fe-oxide and the ilmenite and Fe-oxide. MnO composition in ilmenite ratios are 2.14∼3.74wt%, it has higher composition in diorite than that in anorthosite. The plagioclase composition display andesine (An28.7-42.9) in the diorite and labradorite (An57.1-72.8) in the anorthosite in composition. The exsolution of ilmenite has been developed during the cooling of partly melted ilmenite into rutile and Fe-oxides which is related to the intrusion of the diorite.참고 자료
없음"한국광물학회지"의 다른 논문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구리치환 반응 특성8페이지
석조문화재 보수물질로의 적용을 위한 무기질 바인더 안정성 연구12페이지
백두산 흑요석과 가덕도 흑요석제 석기에 포함된 미세결정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8페이지
전기분해 조건에 따른 구리 회수 변화와 음극회수-구리분말에 대한 광물학적 특성14페이지
한국광물학회지 -(사)한국광물확회 임원2페이지
한반도 납광산의 납동위원소비를 이용한 청동 원료의 산지추정 -청해진 출토 청동기를 중심으로-8페이지
광산폐수 내 시안 제거를 위한 TiO2와 UV-LED를 이용한 광촉매 산화12페이지
중금속오염 토양의 자기분리에 의한 오염농축효과10페이지
경북지역의 먹는 물에서 우라늄 검출 특성8페이지
더미 미생물용출에 의한 폐-광석으로부터 유용금속 용해 특성과 Fe 제거와 전기분해를 이용한 금속구리..1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