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석교사의 직무모델링 연구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4.08
최종 저작일
2007.01
24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3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 / 24권 / 3호
저자명 : 정금현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내용 및 방법
Ⅱ. 문헌 고찰
1. 수석교사의 개념 및 범주화
2. 수석교사제 사례
3. 직무모델링의 관점과 방법
Ⅲ. 수석교사 직무모델링의 결과 및 해석
1. 핵심직무와 보조직무의 설정
2. 수석교사 직무의 적합성(중요도, 예상 빈도 분석)
3. 직무수행기준
Ⅳ. 직무모델링이 수석교사제 도입에 주는 시사점
1. 직무모델링에 따른 수석교사의 성격 설정
2. 직무모델링에 따른 지원 방안 마련
3. 직무모델링에 기초한 인사관리 필요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이 연구는 수석교사에게 요구되는 직무에 기초한 직무모델을 설정하고 그 타당성을 조사하여, 직무에 기초한 수석교사제 도입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수석교사의 직무모델 설정을 위해 문헌연구 및 외국사례 분석을 통해 수석교사의 직무를 범주화하고, 수석교사 직무영역 및 내용을 추출하여 전문가 검토를 받은 후 설문조사를 통해서 직무영역 및 내용 중 수석교사의 핵심직무와 보조직무가 무엇인지 밝혔다. 다음으로 선정된 직무영역 및 내용의 중요도 및 예상빈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직무개요, 직무명세서를 작성하고 직무수행기준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수석교사의 직무영역은 교직원 개발, 경영관리, 교육과정 및 수업, 학부모 및 대외 관계, 학생지도 영역으로 나누었고, 핵심직무로 14개, 보조직무로 21개를 제시하고 그 타당성을 확인 하였다. 또한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수석교사제 도입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수석교사제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수석교사의 직무영역을 명료화함으로써 직무수행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제도 도입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 초록

This paper was aimed to design master teacher's job modeling, and to explore how to introduce
master teacher in the school.
For this purpose, a preliminary examination and focus group conference were conducted, and
questionnaires, for the survey, were distributed to 280 respondents. The professional research group was organized and modified job fields, job description, job specification, and job performance standards.
Job analysis of this study was based on the job classification of master teacher in the school. Jobs of master teacher were classified to 14 core-jobs and 21 sub-jobs.
In addition, in regard to the evaluation of relative importance of jobs, the importance of job for
teacher and staffs development field i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fields. The importance of
core-jobs is from M=3,53 to M=4.51 and expectation frequency is from M=3.02 to M=4.0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master teacher's role for facilitating
school improvement. and this study will provide a guideline for institutionalization of the scheme of master teacher in school.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더보기
  • 프레시홍 - 주꾸미
  • 르네셀 화장품
수석교사의 직무모델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