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 / 28권 / 2호
ㆍ저자명 : 박수정, 황은희
ㆍ저자명 : 박수정, 황은희
목차
I. 서 론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한국어 초록
이 연구는 교장공모제 학교의 학업성취도와 학교 및 학생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9년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성적자료와 설문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교장공모제 학
교와 동일 시·도에서 학급수, 학생수, 기초생활수급자수, 다문화가정학생수를 비슷하게 표집한
비공모제 학교와 비교한 결과, 초등학교의 경우 영어에서 공모제 학교가 비공모제 학교에 비
하여 우수, 미달 비율이 낮고, 보통 비율이 높았다. 중학교의 경우, 국어, 수학, 영어에서 공모
제 학교가 우수 비율이 낮고 미달 비율이 높았다. 일반계 고등학교의 경우, 5개 전 과목에서
공모제 학교가 미달 비율이 낮고, 국어, 사회, 수학, 영어 과목에서 우수와 보통의 비율은 높
았다. 3개 과목을 평가한 전문계 고등학교의 경우, 전 과목에서 공모제 학교의 미달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학교 및 학생 특성에 있어서 학생의 학교생활 태도, 학부모의 관심과 지원,
학생의 학교만족도, 학생의 학습태도 등이 교장공모제 학교 중에서 초등학교와 일반계 고등
학교가 중학교와 전문계 고등학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특히 방과후
학교에 대한 참여율과 만족도가 교장공모제 학교(초등학교, 일반계 고등학교)가 비공모제 학
교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성적자료 중 척도점수와 설문자료 중 일부가 제공되
지 않아 분석에 한계가 있었으나, 교장공모제 학교의 학업성취 수준을 최초로 분석한 연구라
는데 큰 의미가 있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school achievement as well asstudent and school characteristics of schools with a principal invitation and public
subscription system(PIPSS). For this purpose, the 2009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results were analyzed. In the analysis, a PIPSS school was compared to
a non-PIPSS school in the same region, with a similar number of classes, students,
income-support recipients, and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The major results
from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s, PIPSS schools tend
to have a higher percentage of average achievers in English, compared to Non-PIPSS
schools. Second, in the case of middle schools, Non-PIPSS schools show a high percentage
of excellent achievers in subjects such as Korean, Mathematics and English. Third, in
academic high schools with PIPSS, there was a relatively high percentage of excellent, as
well as average achievers, and a comparatively low percentage of low-achievers in all five
subjects. Finally, when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compared on the basis of achievement
levels, PIPSS schools showed a lower percentage low-achieving students in all three subjects.
Among the PIPSS schools, the students and parents of elementary and academic high
schools tend to have higher satisfaction levels an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learning
and overall school life. In particular, the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s levels in after-school
programs were especially higher in PIPSS schools, compared to their non-PIPSS counterparts.
Although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because several achievement scores and survey
results have not been revealed, the fact that it is the first study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achievement levels of PISS and Non-PISS schools is of great significance.
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국교원교육연구"의 다른 논문
교감의 역할과 교감직의 특성에 대한 질적 분석25페이지
대학정보공시제 정책분석 및 효율적 운영방안 탐색24페이지
Lakatos의 발견법을 기반으로 한 인지적 수업모형 제안29페이지
초등학교 교원의 세대 간 상호인식도와 세대갈등에 대한 조사연구25페이지
교육 책무성 정책에 의한 교직변화에 대한 구조적 분석20페이지
자율형 사립고 사회적 배려 대상자 선발제도에 대한 교원 인식 분석23페이지
교사공동체가 교사몰입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21페이지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심리적 안녕감과 협동적 조직문화23페이지
프로젝트 중심 통합교육과정에 나타난 영유아반 교수활동 분석25페이지
사범대학 학생들의 문화성향과 다문화적 교사효능감 관계 연구2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