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ㆍ수록지정보 : 교과교육학연구 / 16권 / 4호
ㆍ저자명 : 현경실
ㆍ저자명 : 현경실
목차
I. 서 론II. 본 론
III. 결론 및 토론
한국어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음악과의 수행평가의 실태를 조사하여 수행평가의 원래 의도가 현장에 잘 적용되고 있는지 알아보아 문제점을 진단함으로서 우리의 음악교육에
도움을 주고자한다. 연구 문제는 첫째, 음악과에서 실시되고 있는 수행평가의 비율은 얼마나 되는
가? 둘째, 수행평가는 각 영역에서 어떤 방법으로 실시되고 있는가? 셋째, 실시되고 있는 수행평가
의 평가 기준은 어떠한가? 넷째, 수행평가의 바람직한 평가 방안은 무엇인가? 서울과 경기도에 있
는 중학교 중 무작위로 119개 학교, 321개 학년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하였다. 연구에 따른 결론
은 첫째, 우리나라 음악과의 수행 평가는 전체의 70%를 적용하는 학교가 가장 많았다. 둘째, 우리
나라 음악과 수행평가는 가창, 기악, 감상, 창작 부분에서 골고루 평가되고 있어 영역별로 치우침
없이 운영되는 편이었다. 셋째, 평가 방법을 분석한 결과 거의 모든 학교에서 학습의 결과만을 평가
하고 있었다. 결과도 중요하지만 학습과정의 평가도 필요하다. 넷째, 시행되고 있는 수행평가의 기
준은 '매우우수-우수-보통-노력필요-매우 노력 필요'의 형태가 가장 많았다. 좀 더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를 하는 방안이 노력되어야 할 것이다.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평가 기준을 잘 세우
는데 많은 노력을 들여야 한다. 평가 기준을 세분화 시키고, 실험하고, 교사들 상호간에 서로 검증
하는 등의 노력으로 신뢰성과 타당성이 있는 객관적인 평가기준을 만들어야 한다. 다섯째, 평가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필요하다. 평가는 학습의 일부이다. 여섯째, 조사 결과 모든 평가는 교사에 의
하여 이루지는 일방적이고 단회적인 평가뿐이었다. 학습의 효과를 위하여 음악일기라든지, 관찰지,
동료평가, 자기평가, 보고서 등 다양한 형태의 평가가 개발되어야 한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rvey the practice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Music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119 schools in Seoul and Kyunggi-Do, both of which were
randomly select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erformance assessment constituted 70
percent of the total evaluation in the majority of schools. Second, performance evaluation was
conducted with respect to singing, instrument, appreciation, and creation, with equal emphasis
on each field. Third, only the results of education were evaluated. Fourth, the evaluation
criteria were classified into "excellent, good, average, improvement needed, and improvement
very much needed". More objective and fair evaluation methods are required. Fifth, a new view
of evaluation is needed. Evaluation is part of education. Both teachers and students should
consider evaluation as part of learning rather than as a form of competition. Sixth, all
evaluations were conducted only once and only by teachers. A variety of evaluation methods
should be developed to make the evaluation correspond to the purposes of education.
참고 자료
없음태그
"교과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교사의 관심 변화 과정 탐구22페이지
고등학생들의 수학적 언어 유형 및 수학적 언어와 Polya의 문제 해결 4단계의 관련성 분석29페이지
장르에 따른 dictogloss 활동이 한국 중학생들의 영어 듣기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24페이지
교원능력개발평가에서 과학 교사의 수업 능력 평가를 위한 이해당사자 기반의 평가 관점 분석20페이지
과학 교과에 적용되는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22페이지
다양한 특성을 지닌 학생을 위한 과학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23페이지
중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 측정 도구 개발 및 특성 분석24페이지
교사의 의도와 통사형태론적인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의 지각 사이의 관계18페이지
빛과 파동에 관한 비유 만들기 학습 자료를 이용하여 중학생이 만든 비유물과 과학 개념의 대응 분석21페이지
고등학생의 미래핵심역량, 행동조절능력, 국어성취도 간의 관계2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