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의 대인관계성향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귀인성향의 매개효과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발달지원학회
ㆍ수록지정보 : 발달지원연구 / 3권 / 2호
ㆍ저자명 : 이윤정, 박미화
ㆍ저자명 : 이윤정, 박미화
목차
서 론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대인관계성향, 귀인성향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대인관계성향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귀인성향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
다. 이를 위해 경기도의 S시, O시, H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3개교 6학년 학생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으며, 총 603부의 설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대인관계성
향 하위영역인 역할, 사회관계, 표현성향은 내적귀인과 학교생활적응과는 정적상관을 보였으
며, 외적귀인은 대인관계의 표현성향과만 정적상관을, 학교생활적응과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대인관계의 역할성향과 학교생활적응은 내적귀인이 부분 매개하였고, 대인관계의 사회
관계성향 또한 내적귀인이 부분매개를 하였으며, 표현성향은 내적귀인이 완전 매개하였다. 외
적귀인은 역할성향, 사회관계성향과 학교생활적응 간에 매개하지 않았으며, 대인관계의 표현
성향에서는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대인관계성향과 귀인성향은 학
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임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이 학교생활
적응을 잘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학생들의 내적 귀인성향을 신장시킬 방안을 모색하고, 긍
정적인 대인관계성향을 갖도록 이끌어주어야 할 것이다.
영어 초록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firs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tudents’interpersonal disposition and their school adjustment and, seco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ttribution style on the relationship. For this research, 6th graders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in ‘S’city,
‘O’city, and ‘H’city of Gyeonggi-do took a survey.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total of
603 surveys. First, the elementary students’ role, social skill, and expressive disposition - the subareas of
interpersonal disposition -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internal attribution and the school
adjustment; the external attribu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nly one of the three subareas,
emotional expressiveness, while i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chool adjustment. Second, the
internal attribution partially mediated interpersonal role disposition and school adjustment as well as
interpersonal sociometric disposition; the internal attribution completely mediated expressive disposition.
External attribution did not mediate the role disposition, sociometric disposition, and school adjustment
and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expressive disposition. Based on the result,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interpersonal disposition and the attribution style can influence the school adjustment.
Thus, in order for the students to have a well-rounded school adjustment, their teachers should seek a
solution for the students to muster their internal attribution propensity and to have positive interpersonal
dis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