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캠퍼스북
  •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의 등장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4.01
34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6,3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수록지정보 : 교육사회학연구 / 24권 / 2호
저자명 : 정진화

목차

Ⅰ. 서론
Ⅱ.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의 배경
Ⅲ. 새로운학교의 탄생 : 남한산초등학교
Ⅳ.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의 계기
Ⅴ.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의 전개
Ⅵ.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이 연구는 2000년 이후 공교육 체제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의 배
경과 계기 및 전개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은 조직적인 교사운동에
의해 공교육 체제 내의 학교를 개혁하려는 움직임으로 새로운학교운동이라고 불리고 있다.
새로운학교운동은 1990년대 한국 사회의 급격한 변동 속에서 새롭게 나타난 교육문제에 대
한 정부의 대응과 전교조운동 및 대안교육 운동이 상호교섭과 충돌을 일으키는 가운데 등장
하였다. 1989년 결성된 전교조의 참교육운동은 교과ㆍ주제ㆍ교육문화ㆍ학생활동 영역의 실
천을 통해 학교 현장 교사들의 수업과 학급운영 방법에 변화를 가져왔다. 또 학교운영위원
회 구성, 예결산 공개 등 학교 민주화를 상당부분 이루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1995년 5ㆍ31 교육개혁안 발표 이후, 정부가 자율과 책무성을 강조하면서 단위학
교 책임경영제를 도입하고, 학교평가와 교원평가 등 평가를 강화하며, 학교 다양화 정책을
실시하자 학교 간 격차와 입시경쟁이 치열해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일련의 신자유주
의 정책들로 인해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은 교육활동에 대한 좌절과 한계를 느끼게 되었으
며, 1999년 전교조가 합법화된 이후 제도 개선 투쟁 위주로 사업을 진행하면서, 참교육 실
천은 조합원 개인에게 맡겨지고 주변화되었다는 비판이 내부에서 제기되었다. 이러한 반성
과 성찰을 통해 참교육 활동에 관심이 많은 교사들은 자발적 모임을 만들어 새로운 학교상
( )을 모색하고 실현해보고자 하였다.
2000년, 폐교 위기에 놓인 남한산초등학교를 교사, 학부모, 지역주민들이 함께 새로운 학
교로 변화시킴으로써 작은 학교 살리기 운동은 새로운학교 만들기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남
한산초등학교에서는 낡은 관행을 타파하고, 아이들을 중심에 두는 교육과정을 새롭게 구성
하였으며, 교사ㆍ학생ㆍ학부모에 의한 학교자치가 이루어지고, 낡은 시설과 환경을 친환경적
으로 바꾸는 변화가 일어났다.
이것을 공교육의 학교개혁 모델로 삼아 자발적인 교사모임을 통해 서서히 확산되던 새로
운학교운동은 2007년 교장공모제 도입, 2009년 혁신학교 추진을 계기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
다. 최근에는 다양한 교원단체, 학부모단체, 교육연구소를 비롯한 학자, 교사, 학부모들이 네
트워크 형태로 참여하고 있다. 이 연구는 그동안 개혁의 대상으로 여겨져 온 교사들이 개혁
의 주체로 나서서 학교를 재구조화함으로써 교사운동을 한 차원 발전시키고, 교사들의 전문
성과 자율성을 실현하고자 하는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이 한국 교육문제 해결에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

영어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background to and the processes underpinning the school reform
movement that was initiated and led by teachers in the 2000s. This teacher-initiated school
reform movement, which is referred to as the New School Movement, emerged from the
cauldron of conflict and strife over key educational problems between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Union (KTU), an alternative education
movement in the 1990s. The KTU, which was founded in 1989, conducted the ChamGyoYuk
(Cham-education) movement that brought qualitative changes in terms of teachers' teaching
methods and classroom management. The union also achieved some measure of democratization
within schools through the organization and creation of school governing bodies and the
publication of school budgets and settlements of accounts; however, since the declaration of the
5ㆍ31 educational reform in 1995, the Korean government strengthened autonomy,
accountability, school evaluation, and teacher evaluation and implemented a policy of school
diversification. Due to these Neo-liberal policies, teachers were faced with a new series of
frustrations and limitations to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in school. Since the KTU was legalized
in 1999, the practice of ChamGyoYuk was left to individuals and it was criticized as being
marginalized. Through this reflection, individual teachers who were interested in the
ChamGyoYuk Movement initiated voluntary meetings, formed groups to seek an ideal school,
and implemented the ideas in the field of school.
In 2000, Namhansan elementary school was at a risk of being closed down; however, its
teachers, parents, and members of the local community endeavored to save and to change the
school. As a result, they initiated and implemented a student-centered curriculum, created a
system of self-government for the school, and moved towards an eco-friendly school
environment. This small school revival movement was later to grow into the New School
Movement. Since the beginning, this movement slowly expanded through groups of teachers;
however, growth of the movement accelerated by the openning up of the recruiting system for
principal employment, which was initiated in 2007, and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schools”, which began in 2009. Furthermore, a variety of teachers, parents groups, and
interested scholars engage in the movement via professional networking.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teacher-initiated movement, in which teachers have stood up for school reform,
upgraded Korean education, and improved their own expertise and autonomy, is expected to be
the first step to solve the current Korean educational problem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파일확장자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의 등장(학술대회지) 24페이지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은 조직적인 교사운동에 의해 공교육 체제 내의 학교를 ... 실현시키는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이 한국 교육문제 해결에 갖는 의미를 보여준다 ... 이 연구는 2000년대에 공교육 체제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교사주도 학교개혁
  • 파일확장자 교사는 많은 것을 할 수 있다. 그러나~ 토론문 3페이지
    학교개혁해야 한다는 얘기는 어제 오늘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 그개혁에는 531이라는 숫자가 달리게 되었고, 이 숫자가 달린 “개혁”안은 ... 것만 하더라도대처 수상의 집권 이후 신자유주의 기치 아래 추진된 영국의 “개혁
  • 한글파일 공공 도서관과 학교 도서관의 협력 5페이지
    있는 요소로서는 7차 교육과정의 시행, 시민단체 주도학교도서관 운동, ... 현안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 오랜기간 동안 침체되어 있던 학교도서관이 90년대 교육개혁의 사회적 분위기
  • 한글파일 우리나라 중년 여성을 위한 평생교육 연구 22페이지
    그러나 교과서나 교훈, 교칙 등 공식적 교육과정에서는 물론 교사가 학생을 ... . 1970년대 미국에서 커다란 관심을 불러 일으켰던 자유주의적 여성주의운동은 ... 동등을 추구하는데 기여하였다 해방 후의 여성교육은 미국식 민주주의관에 의해 주도된다
  • 한글파일 중년여성의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 43페이지
    넷째, 해방 후의 여성교육은 미국식 민주주의관에 의해 주도된다. ... 그러나 교과서나 교훈, 교칙 등 공식적 교육과정에서는 물론 교사가 학생을 ... . 1970년대 미국에서 커다란 관심을 불러 일으켰던 자유주의적 여성주의운동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의 등장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