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구조가 아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01.01
23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2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수록지정보 : 교육사회학연구 / 11권 / 2호
저자명 : 오계훈, 김경근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가족의 불안정성이 증대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가족구조의 변화가 아동 교
육과 관련하여 갖는 함의를 찾기 위하여 가족구조와 아동의 학업성취 사이의 관계를 실증적으
로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생 1,011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조적 결손가
족의 아동은 양친가족의 아동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낮은 학업성취 수준을 보였다. 그런데 이러
한 결손가족 아동의 상대적으로 낮은 학업성취 수준은 부모의 부재 그 자체보다는, 이들이 직
면하고 있는 열악한 경제적 여건에 의하여 초래되고 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family structure affects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elative influence of family
resources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addressed.
(1) Do children who live with single parents have relatively lower achievement than
children who live with both parents?
(2) Is family structure associated with family resources which are necessary for
supporting children's academic activities?
(3) If differences in children's test scores by family structure exist, what are the
factors that might explain the differences? Can differences in test scores be
attributable to any of the possible links between family structure and family
resources?
The analyses are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1,011 sixth graders of 8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Data is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crosstabs, and
odds ratio. The results show that children in two-parent families have higher test
scores than do children in one-parent families. Also, children who live with single
parents are economically disadvantaged while parental attention with regard to
children's educational activities doesn't differ by family structure. Such disadvantage
in test scores for children from one-parent families can mainly be attributable to
families' poor economic conditions. Family structure itself does not influence children's
achievement directly. Rather, family economic resources, which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family structure, mediate the negative effects of living in a single-parent family.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lower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is due to the fact that single parents have lower education
levels and lower earning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뮤지컬 베토벤
  • 프레시홍 - 주꾸미
  • 프레시홍 - 주꾸미
가족구조가 아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