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교과에서 정치, 선거학습내용과 민주시민교육
(주)학지사
- 최초 등록일
- 2015.03.25
- 최종 저작일
- 2014.08
- 19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4,8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사회과수업학회
ㆍ수록지정보 : 사회과수업연구
ㆍ저자명 : 고선규
목차
Ⅰ. 서론
Ⅱ. 민주시민교육의 재등장과 정치교육
Ⅲ.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특징과 문제점
Ⅳ. 학교에서 정치교육의 내용과 한계
Ⅴ. 결론을 대신하여: ‘학교민주주의’ 실현과 참여를 통한 민주시민교육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글로벌화와 함께 급속하게 진전되고 있는 정보화는 사회 환경 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를 초
래하였다. 초고도정보화사회, 지식정보화 사회로 불리는 새로운 사회적 변화는 학교교육 뿐
만 아니라 민주시민교육에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시대적 변화에 따른 시민의 모습이나
역할이 변화하게 되었다. 기존의 산업사회의 시민과는 달리 세계화, 정보화시대의 시민은
지구적 차원의 활동능력과 세계시민의 일원이라는 자의식을 갖추어야 한다. 동시에 이러한
시대적 변화가 초래한 가치변화, 행동양식의 변화는 시민에게 새로운 자질을 요구하고 있
다. 시대적 변화나 정치사회가 요구하는 자질을 가진 시민을 양성하는 교육이 민주시민교육
이다.
민주시민교육 관련 용어의 명칭은 국가마다 다르게 이루어져 왔다. 독일을 위시한 유럽 국
가들에서는 ‘정치교육’(Politische Bildung)으로 불리어진다. 앵글로색슨계인 영국·미국에서
는 ‘시민교육’(Citizenship Education or Civic Education), 그리고 아시아지역의 일본에서
는 ‘공민교육’(公民敎育)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용어상의 차이는 각국이 처한 정치상
황이나 현실적 필요성이 각기 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국가가 축적해 온 역사적 맥락
이나 직면한 상황논리가 다르기 때문이다. 한국사회에서는 오랜 논쟁을 통해 일반적으로
‘민주시민교육(Civic Education for Democracy)’으로 정착되어 왔다. 그러므로 학교에서 사
회과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정치과목의 교육은 민주시민교육이라는 목적에서 매우 중요하다
고 본다.
참고 자료
없음
"사회과수업연구"의 다른 논문
더보기 (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