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장기요양기관에 대한 현행 평가제도가 조직구조 및 활동에 미치는 영향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사회복지학 / 66권 / 2호
ㆍ저자명 : 권현정
ㆍ저자명 : 권현정
목차
1. 서론2. 노인 장기요양기관 평가제도에 대한 이론적 접근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사회학적 신제도주의 관점에서 노인장기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들이 평가제도를 어떻게 채택하고 집행하는지를 동형화와 분리현상으로 해석하였다. 이를 위해 장기요양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7개 기관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한 자료를 질적 내용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평가제도가 장기
요양기관의 공식적인 구조에 있어서는 동형화를 이끄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장기요양기관 평가제
도가 의도한 공급기관 간 경쟁을 통한 효율성을 촉진하는 방식으로 채택되기보다, 정부자원에 의존하
기 위해 강압적으로 평가제도를 채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평가제도가 정부규제에 의
해 장기요양서비스를 표준화하는 양상으로 집행되고 있음을 확인시켜주었다. 또한, 동형화에 수반되는
조직의 공식구조와 실제 활동의 분리현상도 부분적으로 관찰되었다. 무엇보다 분리현상은 정부역할로
서 조직의 이중구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효율성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평가체계의 운용이 요구되
며, 특히 돌봄 서비스의 고유성을 반영한 평가지표에 대한 개선이 시급함을 보여준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how the long-term care evaluationsystem implements in the actual service settings with institutional isomorphism
and decoupling based on new-institutional theory.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 with employees engaged in 7 long term care service facilities. Directe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s a result, unlike the
intention of the long-term care evaluation system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organization by market competition, it found that organizations forcibly adapted
a evaluation system to rely on government’s resources and it results in
isomorphism phenomena which is similar between organizations. This results
confirmed that the evaluation system has implemented in the direction of
enhancing the government's role to standardize and institutionalize the long-term
care service rather than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organization by market
competition. This study also partially found the phenomenon of decoupling
between organizational formal structure accompanied by isomorphism and real
behavi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required to improve government's
evaluation indicators on the issue of inefficiency caused by dual structure of
organizations.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that government's evaluation index
which is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care service is necessary for operating.
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국사회복지학"의 다른 논문
일본, 홍콩, 한국의 사회적기업 지원체계 및 지원방법 비교연구31페이지
학교 내 청소년들의 권력관계 양상과 유형 파악을 위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32페이지
지역공동체의 사회자본 형성에 관한 유교적 관점 -사회자본 형성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23페이지
⌈월간복지⌋에 비친 일본 ‘사회복지’의 변천 -‘자선’에서 ‘사회복지’까지 ..27페이지
결혼이주여성의 아동학대 발생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양육스트레스, 문화적응스트레스, 사회적지지..24페이지
중고령층 우울증 여부의 성별 격차에 관한 요인 분해 분석19페이지
여성결혼이민자의 다문화가족지원사업 이용과 결혼의 안녕 및 희망의 관계 -문화상대주의와 강점관점에 기..31페이지
보육료 지원 확대가 여성의 생활시간 배분에 미치는 영향 -미취학자녀가 있는 중하위소득 가구의 여성을..25페이지
청소년의 아동학대 경험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이르는 경로 -사회발달모델(Social Developm..25페이지
독거노인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간의 관계 -자기비판, 고독감의 다중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2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