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멀티태스킹과 세분화된 동기유형 연구 : 기능별 동기와 매체별 동기를 중심으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광고PR실학회
ㆍ수록지정보 : 광고PR실학연구 / 7권 / 2호
ㆍ저자명 : 강미선
ㆍ저자명 : 강미선
목차
서론기존 문헌 검토 및 이론적 배경
연구문제 제안
연구방법 및 응답자 특성
연구결과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종래의 미디어 멀티태스킹 개념을 확장하여, 이 연구에서는 두 매체는 물론 한 매체 내에서 두 종류의 콘텐츠를 동시에 이용하는 행동으로 정의했다. 이용과 충족 관점에서 소비
자의 어떤 심리적 동기가 강할 때 미디어 멀티태스킹 행동이 활발해지는가를 탐색하는
데 일차적 목적을 두었다. 동기목록은 이용과 충족 연구에서 제시된 기능별 동기(정보,
오락, 습관, 관계 동기) 외에 매체별 이용동기(TV동기, 신문/잡지 동기, 인터넷동기, 휴
대폰 동기)를 추가로 구성했다. 복수 매체의 동시 소비라는 점을 감안하여 매체별 동기의
역할을 조망코자 한 것이다.
한, 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미디어 멀티태스킹이 가장 활발한 매체조합은
디지털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 멀티태스킹’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모든 기능별 동
기가 다양하게 편재되어 있는 반면 미국은 오락과 습관 동기가 강하게 작용했다. 매체별
동기 중에서는 휴대폰 동기가 지배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기능별, 매체별 동기 중 유의한
변인을 종합하여 판별분석한 결과 휴대폰 동기가 가장 설명력이 큰 변인으로 판명되었다.
다만, 한, 미 간 결과는 다소 상이해서, 문화권별 차이와 특징도 파악할 수 있었다.
영어 초록
In order to develop the definition of media multitasking(MM), the researcher defined MM asengaging in multiple media activities simultaneously, including multiple windows on a single
media platform and/or multiple media. In the context of Uses & Gratification research, the
researcher studied the relationship motivations of consumers with MM behavior. This paper
suggested two kinds of motivation list; functional motivations(information, entertainment,
habit, and social communications) and motivations for specific media(TV, newspaper/
magazine, internet, and mobile phone).
Using survey data collected in Korea and USA, this study found that all kinds of functional
motivations have influence on MM in Korea, but entertainment and habitual motivations are
more powerful on MM in USA. Finally, through the discriminant analysis, motivation of
mobile phone was verified 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MM including all countries. But
also, the researcher found simultaneously detailed different phenomenon by cross cultural
circumstances. So,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