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들의 쓰기 활동에 나타난 글과 그림의 의미 구성 양상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초등국어교육 / 54권
ㆍ저자명 : 유승아
ㆍ저자명 : 유승아
목차
1. 서론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및 해석
5. 결론 및 제언
한국어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이 글과 그림을 활용하여 작성한 복합양식 텍스트를대상으로 학생들의 복합양식 문식성 실천양상을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글(문자
기호)과 그림(시각적 기호)의 역할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이 두 기호 체계를 어떻
게 결합하여 의미를 구성하는지를 학생들의 학년 발달에 따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담임교사의 협조 아래, 초등학교 1, 3, 5학년 총 93명의 학생들이
작성한 복합양식 텍스트와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복합양식 텍스트
의미 구성에 있어서 글과 그림의 관계를 ‘대칭’, ‘상호보완(부연과 보충)’, ‘그림 없
음’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1학년에서는 ‘대칭’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반면에 3학
년에서는 ‘대칭’과 ‘상호보완’, 5학년에서는 ‘상호보완’과 ‘그림 없음’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복합양식 텍스트를 작성하는 이유가 학
생들의 문식성 발달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복합양식 문식성 지도가 어느 한 시점에서만 단기적으
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학생들을 능
동적인 의미 구성자로 길러주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ultimodal literacy implementation ofmultimodal texts composed of writings and drawings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also examines how they recognize roles of writings (letter sign) and
drawings (visual sign) construct their meanings by qualitatively combining these
two sign systems, according to students’ developments.
In this regard, the multimodal texts produced by a total of 93 students in 1st,
3rd and 5th grades are analyzed, and materials of interviews with students and
materials of interviews with class teachers, conducted by them are used in the
analysis. Therefore, relationships between writings and drawings can be
categorized into ‘symmetry’, ‘enhancing and complementary (amplifying and
complement)’ and ‘no drawings’ in the multimodal text meaning construction. It
can be observed that while the ratio of ‘symmetry’ is higher for 1st students,
‘symmetry’ and ‘enhancing and complementary’ for 3rd students and those of
‘enhancing and complementary’ and ‘no drawings’ for 5th students are increased.
In addition, the reasons that multimodal texts are produced are varied,
depending on literary developments of students.
Based on this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train students
to be positive meaning constructors by conducting multimodal literary instruction
not for the short term at a certain time, but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참고 자료
없음"한국초등국어교육"의 다른 논문
한글 자음자(子音字) 지도 순서에 관한 연구37페이지
초등 문법 교육의 특성과 가치 탐색28페이지
초등 문법 영역에서 유의관계 교육의 독립과 그 효용에 대하여30페이지
교육연극의 변용학문적 특성 연구33페이지
초등 다문화 학습자의 읽기 유창성 신장에 관한 실행 연구43페이지
초등학교 5·6학년 학생의 텔레비전 뉴스 시청실태와 학습에 대한 인식29페이지
초등 읽기 단원 체제와 질문 분포 양상의 관계27페이지
한글 관련 용어 ‘자모 ? 낱자’와 ‘글자’의 사용 실태연구: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을 중심으로57페이지
신문기사의 청소년 언어문화 재현 양상 연구40페이지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듣기·말하기 영역 통합 양상 연구- 초등학교 1~2학년군과 3~4학년군을 ..2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