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시대 뮤지움과 지역사회 소통의 의미 고찰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1.01
16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수록지정보 : 조형교육 / 39권
저자명 : 구보경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다문화시대와 문화다양성
2. 지역사회와 뮤지움
Ⅲ. 지역사회 소통을 위한 뮤지움 환경
1. 다문화이해를 위한 뮤지움 환경
2. 다무놔 지역사회 속에서 뮤지움 역할
Ⅳ. 소통의 역할로서 뮤지움
1. 전시를 통한 문화다양성 수용
2. 지역사회를 위한 연계 프로그램
Ⅴ. 맺음말: 결론과 제안
※ 참고문헌
※ ABSTRACT

한국어 초록

뮤지움의 사회적 역할 중에 하나는 그들이 속해있는 지역사회의 문화유산을 지키고, 지역공동체가 뮤지움이 제공하는 프로그램들을 통해서 다양한 미적, 사회적, 문화적 체험과 관계를 맺는데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뮤지움은 지역사회에 속한 개개인이 자신의 정체성을 깨닫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그들의 삶을 풍요롭게 해 준다(Ambrose & Paine, 2001: 9).

영어 초록

The primary issues for museums of all types are cultural equity and equal
access.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e many museums begin to reexamine the
entity we call the community. Museums are public institutions. Their mission to
preserve, exhibit, and interpret these collections for the public-not some of the
public, but all of the public. This study reviewed recent literatures of the role of
museums as agents of social inclusion and multicultural society. The community is
not only an ethnic group, a neighborhood, or the residents of a defined era. We
find ourselves integrally involved with other and with many different communities
simultaneously. In this regard, museums have the responsibility for coming to
terms with our neighborhood community. Museums should embrace cultural diversities
in terms of their operation, exhibition, program and audience development.
The study represents recent paradigm for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
focused on cultural diversity and multiculturalism. However, more attention and
consideration of multicultural programs in the museum environments should be
researched and developed. Such programs can provide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 new immigrants find themselves in and can offer them an opportunity
to share their cultural identification with their neighbors. Developing the museum
policy and multicultural program for the community are the best contemporary
thinking, then it is about the changing role of the museums for the public in a
multicultural society.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더보기
  • 뮤지컬 베토벤
  • 프레시홍 - 주꾸미
  • 프레시홍 - 주꾸미
다문화시대 뮤지움과 지역사회 소통의 의미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