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이론을 적용한 미술활동프로그램이 도식기 아동의 다중지능적 인지계발에 미치는 영향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조형교육 / 31권
ㆍ저자명 : 홍창호
ㆍ저자명 : 홍창호
목차
I. 서론1. 연구목적 및 필요성
2. 연구내용
3. 연구의 제한점
II. 이론적 배경.
1. MI(Multiple-Intelligence)이론의 개념
2. MI이론의 특징과 학습유형
3. MIDAS의 다중지능 영역의 핵심요소
4. 선행연구사례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및 기간
3. MI이론에 기초한 교수-학습구성
4. 연구 도구
5. 자료처리 방법
Ⅳ. 자료 분석 평가
1. 결과
2. 논의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 부록
한국어 초록
MI(다중지능, Multiple Intelligences)이론은 아동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인성 및 창의성을 최대한 신장시킴으로써, 모든 아동의 잠재능력이 최대한 계발될 수 있도록 한다는 미술교육목적에 부합한 이론이다. 오늘의 교육 목표가 다변화 시대에 적응할 수 있는 인간 육성에 있다는 점에서 아동들의 능력, 적성, 필요, 흥미에 따른 개인차를 중요시한 아동 개개인의 성장잠재력과 교육의 효율성의 창출이 중요하게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초등미술교육에서도 아동들의 흥미를 고려하면서 다양한 미술활동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각자의 능력을 계발하도록 하며, 아동들이 스스로 문제해결과 관련된 지식이나 개념을 찾아보고 구성해 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교육부, 2007)는 취지에서처럼 MI이론에 기초한 미술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연구는 이러한 최근의 미술교육목표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시의 적절하다.영어 초록
Recently the art program based on MI(Multiple Intelligence) theory has beengeneralized to be related to the trend which stress the cognition development
through the diverse apply in arts education. But we have to remember that it has
not been successful for the creativity-based art education in terms of being applied
it hurried in arts education field, and the art program applied to MI theory also
needs rather the balanced process for the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the
corrective and effective arts education than the theory itself or fragmentary approach
of the theory.
The process of the verification would be not so much the superficial application
and development as the effective development from the result through the concrete
analysis, and has to be search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and the evaluation of
the arts program related MI theory.
MI is the theory coincided with the purpose of the art education which make
the children develop to their potential ability by means of appreciating in their creativity
and the diverse. It would be the educational purpose to maximize the children's
potential ability and the educational efficiency considered their individual variation
in that today's educational goal is to educate the man who encounter in the
diversification times, therefore, in the elementary school it is about the time to be
composed the class environment which could construct and apply the concept and
the knowledge related to the problem solving through the children's self-regulating.
In that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at how the arts program
based on MI theory could have influence on the cognition of Schematic stage children.
참고 자료
없음"조형교육"의 다른 논문
문화콘텐츠 산업의 현황과 영상교육의 통합화에 관한 연구25페이지
Advanced Placement in Studio Art:한국 중등미술교육에의 시사점 분석26페이지
창의적 환경제품디자인 설계를 위한 단계적 문제해결학습방안35페이지
2007년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비판적 사고와의 관계 연구25페이지
시각체제의 특정 속성과 조형요소의 관계 연구38페이지
옹기의 지역적, 조형적 특성의 이해에 기초한 전통미술 프로그램 개발29페이지
2007년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특징과 교과용 도서 편찬의 과제22페이지
기념관, 역사, 미학 그리고 학습23페이지
미술과 수행평가의 개선 방안 연구24페이지
카미유 클로델의 조각에 나타난 자전적 경험의 재현 방식3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