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교육의 변증법적 고찰
(주)학지사
- 최초 등록일
- 2015.03.25
- 최종 저작일
- 1985.01
- 7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3,0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교육학연구
ㆍ저자명 : 정영수
목차
Ⅰ. 서 론
Ⅱ. 사물로서의 자연
Ⅲ. 인간의 본질에 내재하는 긴장
Ⅳ. 지식교육과 인격교육
Ⅴ. 요약 및 결론
한국어 초록
교육과 과학, 기술, 산업세계 등과의 관계를 구명하는 일을 자신의 교육학적 주요 관심영역으로 삼아온 Litt (1880-1962)는 인간교육의 본질을 변증법적으로 고찰하고 있으며 모든 교육에 있어서 인간과 사물간의 상호관계를 특히 강조하고 있다. 그는 독일의 고전주의적 혹은 이상주의적 교육이념에서 말하는 현실과 유리된 인간의 내면성으로 부터 발전시킨 인간의 사상은 인간의 본질이나 현실상황에 적합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그는 인간의 본질을 결코 조화로운 것으로 파악하지 않고, 끊임없는 모순, 대립, 갈등의 이율배반적 관계 속에서만이 자신의 인격을 완성시켜 나갈 수 있다고 한다.
이 글에서는 인간교육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Litt의 변증법적 교육사상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참고 자료
없음
"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
더보기 (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