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M을 이용한 버스차두간격 편차에 미치는 요인분석 : 서울시사례를 중심으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대한교통학회
ㆍ수록지정보 : 대한교통학회지 / 27권 / 6호
ㆍ저자명 : 이호상, 김도경, 김영찬, 황경수
ㆍ저자명 : 이호상, 김도경, 김영찬, 황경수
목차
Ⅰ. 서론Ⅱ. 관련문헌고찰
Ⅲ. 자료수집
Ⅳ. 모형구축
Ⅴ. 분석결과
Ⅵ. 결론 및 향후연구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버스의 정시성은 노선 특성 및 운수회사의 특성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과학적인분석이 미흡한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선 및 운수회사 특성에 따른 정시성(차두간격편차 요인)을 모형화 하기 위하여 상관분
석 및 선형회귀분석(OLS, Ordinary Least Square)을 통하여 최적설명변수를 선택하고, 위계적인 자료구조를 고려하
여 위계적 형태의 자료분석에 많이 사용되는 위계적선형모형(HLM, Hierarchical Linear Model)을 적용하여 정시성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ICC가 0.10으로 분석되어 정시성에 미치는 영향 중 노선특성에 의한 영향이 90%,
회사특성에 의한 영향이 10%로 나타나 OLS보다 HLM 적용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버스의 정시성은 노선변수
수준에서 운행대수, 평균차두간격, 대당승객수 순으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행대수가 많고 대당승객수가 많은
노선은 정시성과 반비례하고, 평균차두간격과는 비례관계로 분석되었다. 회사변수 수준에서는 회사규모(관리대수)가 클
수록, 일반회사 보다는 입찰간선회사가 정시성에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정시성 평가관리시 노선
별 운행대수, 평균차두간격, 운수사별 관리차량대수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며, 정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는 노선의 연장을 짧고, 운수사의 규모가 클수록 유리하다 할 수 있다.
영어 초록
It has been known that bus route and company related charateristics have influences on punctuality,but fewer research have been conducted. Independent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were select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OLS(Ordinary Least Square) and HLM(Hierarchical Linear Model) were employ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bus punctuality(headway devi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ICC(Intraclass
Correlaton Coefficient) is 0.10, indicating that hierarchical linear models are more adequate for these
data because there is effective variation in the subjects between companies. Punctuality was found to
b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vehicles, the number of persons per vehicle, and total travel
time. On the other hand, average headway and company size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unctuality.
Therefore, the number of vehicles per route, average headway, and the number of vehicles managed by
a company should be considered for more accurately evaluating the management of piunctuality.
참고 자료
없음태그
"대한교통학회지"의 다른 논문
목표지향 기종점 교통수요 관리모형연구10페이지
목표지향 교통수단선택을 위한 연속형 교통망설계모형10페이지
환승지체 및 가변수요를 고려한 대중교통 운행빈도 모형 개발10페이지
도로환경요인이 도로변 대기오염에 미치는 영향분석8페이지
FTMS 자료를 활용한 고속도로 Corridor 동적 분석9페이지
차량간 안전거리를 고려한 차로변경 모형개발10페이지
제주시 거주자우선주차제 문제해결 요소 탐색에 관한 연구10페이지
고속도로 인터체인지 이격거리와 주변 아파트 가격의 관계연구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영향권을 중심으로8페이지
원더링 센서를 이용한 차종분류기법 개발10페이지
신호교차로에서 버스와 승용차의 발진가속도 측정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