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준별 이동수업과 지각된 수업특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ㆍ수록지정보 : 인간발달연구 / 16권 / 2호
ㆍ저자명 : 이주리
ㆍ저자명 : 이주리
목차
Ⅰ. 서 론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에서는 HLM 분석을 통해 수준별 이동수업과 지각된 수업특성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2005(KELS)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전국 150개의 중학교 1학년생 6908명(남학생 3617명, 여학생 3291명)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학업성취는 학교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어 성취도가 우수한 집단에서는 어떠한 수업특성도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반면, 영어 성취도가 부진한 집단에서는 지각된 구조화 수업특성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유의하게 증진시켰다. 수학 성취도가 우수한 집단에서는 지각된 촉진적 수업특성이 중학생들의 학업성취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반면 수학 성취도가 낮은 집단에서는 어떠한 수업특성도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수준별 이동수업은 어떤 집단에서도 학업성취에 대한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영어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bility grouping and perceived class characteristics upon the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by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HLM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analysis. The participants were 6908 (boys 3617, girls 3291) middle school students selected from the 2005 data of the KE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different schools in term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2) Not all class characteristics influenced English achievement in the group of high English ability, however, perceived structured class characteristics influenced English achievement in the group of low English ability. (3) Perceived facilitative class characteristics influenced mathematics achievement in the group of high mathematics ability, however, not all class characteristics had an influence on mathematics achievement in the group of low mathematics ability. (3) Ability grouping didn't influence academic achievement in all of the groups.참고 자료
없음"인간발달연구"의 다른 논문
군인의 우울, 자살사고에 따른 Draw-a-Story 검사 반응의 특성12페이지
대학생을 위한 인성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16페이지
성인애착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사회불안 중 부정적 평가에 대한..14페이지
대학생의 정서 및 자기조절능력과 창의성 간의 관계20페이지
한국판 자기지각 정서경험 척도(K-HIF)의 타당화 : 후기 청소년기-초기 성인기를 대상으로28페이지
고등학생 부모가 지각한 자녀의 효도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33페이지
청소년의 신체적 공격성 발달궤적 및 예측요인21페이지
한 중학생의 외국어 능력 계발 과정에서 나타난 학습 전략 및 기제 분석19페이지
아동용 인터넷 게임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12페이지
수줍은 아동의 친구관계에 관한 연구 : 친구유무, 사회적 행동특성, 친구관계의 질을 중심으로1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