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의 외부활동을 위한 공간으로서 대구시 단독주택지 주거환경과 거주자 의식에 관한 연구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4
최종 저작일
2006.01
12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1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주거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17권 / 1호
저자명 : 김묘정, 하재명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사례 연구
IV.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한국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information about improvement method of the detached housing areafor children's outdoor activities. This study was accomplished by two research methods; the evaluation of physicalenvironment of two detached housing areas, and the analyzation of satisfaction & consciousness of 190 residents.Outdoor spaces of detached housing area were divided into 6 areas (play space, education facility, commercialfacility, green space, street space, and empty space & parking lot). And then, 6 outdoor spaces were evaluated aboutthe physical characters such as accessibility, network, safety, variety, functional, natural elements. Also, the survey forresident's satisfaction and consciousness was used the Likert scal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many partsof the detached housing area were not good for children's outdoor activities, and the resident's satisfaction was low.In the sample detached housing areas, negative factors were car and motorcycle. And many residents pointed out thelack of natural elements, variety, and safety of outdoor space in dwelling area.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eseveral constitution method for the children's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evaluation and survey.Keywords : outdoor activities of children, detached housing area, housing environment, outdoor space주 요 어 : 아동의 외부활동, 단독주택지, 주거환경, 외부공간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뮤지컬 베토벤
  • 프레시홍 - 주꾸미
  • 프레시홍 - 주꾸미
아동의 외부활동을 위한 공간으로서 대구시 단독주택지 주거환경과 거주자 의식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