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문제 유아에 대한 집단치료놀이 사례연구
(주)학지사
- 최초 등록일
- 2015.03.24
- 최종 저작일
- 2006.01
- 17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4,6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방과후아동지도학회
ㆍ수록지정보 : 방과후아동지도연구 / 3권 / 2호
ㆍ저자명 : 김연진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변화와 더불어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유아기에 처음으로 접하게 되는 집단활동의 장소인 어린이집에서 유아의 정서문제가 자주 관찰되어 문제를 제기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애착이론에 근거하여 건강한 부모 자녀 관계를 모델로 한 집단치료놀이를 정서문제 유아의 긍정적인 변화를 위해 계획, 적용함으로써 사례를 분석하고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집단치료놀이를 통한 유아의 정서문제 변화는 집단치료놀이 실시과정 중 변화, 면담을 통한 변화, 행동관찰을 통한 변화를 살펴본 후 질적인 분석을 보완하기 위하여 부모가 작성한 한국아동인성검사(KPI-C)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집단치료놀이를 통한 유아의 상호작용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매 회기별 녹화된 비디오 내용을 일화기록법으로 기록하고 각 유아의 상호작용의 변화를 단계별로 평가하였다. 집단치료놀이를 통한 유아의 정서문제 변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치료놀이에 참여한 유아들의 과정 중 변화는 불안, 우울, 신체화문제를 가진 유아 모두 꾸준한 점수 상승을 보였다. 둘째, 교사와 부모의 면담을 통한 변화는 집단치료놀이 실시 후 유아 모두 정서문제가 감소하였으며, 집단 내 적응, 또래들 간의 관계, 부모와의 관계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음을 교사, 부모 모두 보고하였다. 셋째, 행동관찰을 통한 변화는 긍정적 행동 빈도에서 개인차는 있었으나 6명 모두 초기 세션보다는 후기 세션으로 갈수록 긍정적인 행동이 증가하였으며, 반면에 부정적 행동 빈도에서는 각 세션에 다소 부정적인 행동이 나타나기는 하였으나 후기로 갈수록 현저한 감소를 보였고, 마지막 16세션에서 모든 유아들에게서 부정적인 행동은 관찰되어지지 않았다. 넷째, KPI-C를 통한 변화는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정서문제가 감소하였으며, 윌콕슨 부호순위검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주제어 : 정서문제, 유아, 집단치료놀이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