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서연(書筵) 연구
(주)학지사
- 최초 등록일
- 2015.03.24
- 최종 저작일
- 2005.01
- 24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5,3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교육학연구 / 43권 / 1호
ㆍ저자명 : 육수화
목차
Ⅰ. 서론
Ⅱ. 서연의 교육과정
Ⅲ. 서연의 교육방법
Ⅳ.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조선후기 서연의 교육과정과 교육방법을 규명한 것이다. 조선유학은 朱子學을 근간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서연의 교육과정뿐만이 아니라 일반의 교육과정에 있어서도 小學 등의 초학과정을 마치면 四書五經을 단계적으로 이수하는 朱子讀書法에 의거하여 이루어졌다. 그러나 일반의 교육과정과는 달리 서연의 경우 제왕학으로써 경서 못지않게 역사서의 비중이 높았다는 점이 특징이다. 교육방법은 크게 정규적으로 이루어지는 法講과 수시로 이루어지는 召對로 나뉜다. 교재는 법강의 경우에는 經書를, 소대의 경우에는 史書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서연은 왕위계승자인 東宮을 대상으로 한 교육이었기 때문에, 왕권 및 왕실의 위상과 상호 비례하여 이루어졌다.
영어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iculum and methods of Sŏyŏn(書筵) education in the late Chosŏn period. Because the Confucianism of the Chosŏn dynasty was formed on the basis of Neo-Confucianism(朱子學), the curriculum of Sŏyŏn(書筵) education was made up on the basis of Chu hsi's studying method of reading books. But it is notable that for the education of the emperor, historical books were as important as the Confucian classics. The method of education was divided into Bŏb-Kang(法講), which was regular, and So-Dae(召對) which was for supplementary study. The main textbooks for teaching in the case of Bŏb-Kang(法講) were the Confucian classics, and the ones in the case of So-Dae(召對) were the history books(史書). Because the recipient of Sŏyŏn(書筵) education was the crown prince(東宮), the educational programs of Sŏyŏn(書筵) were carried out to maintain the power and status of Chosŏn kings.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