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ㆍ수록지정보 : 시각장애연구 / 21권 / 1호
ㆍ저자명 : 강정화
ㆍ저자명 : 강정화
목차
Ⅰ. 서론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 고 문 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가정방문을 통한 시각장애유아의 개별지도 사례를 연구한 것이다.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가정내 방문지도를 통해 대상유아의 언어, 인지, 보상, 사회성 발달의 증가를 가져왔다. 언어, 인지, 보상성의 경우 2004년 4월 20일 현재 3~4에서 2005년 7월 21일 현재 5~6세로 발달했다. 소근육과 대근육발달의 경우 오레곤 프로젝트가 시각을 이용한 기술이 많아 각 문항영역을 체크하기가 다소 어려웠으며 대상유아의 성장호르몬결핍으로 인해 대근육과 소근육 운동이 다소 늦어져 측정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유아의 언어발달의 증가로 인해 유아의 시력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었다. 김은숙(2003)이 번안․수정한 시각장애유아용 사회성발달 측정도구를 사용한 결과 SA가 2.47에서 4.13으로 증가했다.
둘째, 부모와의 면담 통해 유아의 언어, 인지, 사회성 발달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고 또한 부모의 생각이 긍정적으로 변화함에 따라 유아에 대한 학습시간 할당의 증가와 가정내의 역동성에 변화, 특히 동생과의 상호작용 증가로 가정내 분위기 변화가 있었다. 특히 부모가 유아의 대한 미래에 대한 기대를 가지게 됨으로써 부모는 적극성의 향상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가정방문교육이 가정내의 긍정적인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 수 있다. 이것은 Brookman-Frazee(2004)의 스스로 역량이 강화된 부모는 자녀를 가르치는 것에 있어서 자신감과 효율성을 지니며 일상생활을 성공적으로 영위하고 교사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자와 상호작용하면서 아동을 위한 서비스를 얻고 아동의 중재계획과 교육에도 활발히 참여하게 된다한 연구내용을 뒷받침해 주는 결과라고도 볼 수 있다. 앞으로 가정방문교육을 실시함으로써 부모도 자녀의 교육에 대한 참여하게 됨으로써 유아를 발전시키고 또한 지속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고 볼 수 있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sually impaired preschoolers' individual education through home-visiting on their developmental change and the effects of home-visiting in the view of visually impaired preschoolers' mother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visually impaired preschoolers who were 6 years and 8 months old, living in Kwang-ju city and going to special day care centers. This study was administered in the preschoolers' home for two hours each session once a week from March 2004 to July 2005.The results of this cas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the social maturity scale for visually impaired preschoolers, the language, cognitive, compensation and social development in the preschoolers' increased from age 3~4 to age 5~6 and SA increased from 2.47 to 4.13 respectively.
Secondly, through interview with the mothers, it was confirmed that the language, cognitive, and social development of the preschoolers in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