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ㆍ수록지정보 : 인간발달연구 / 11권 / 2호
ㆍ저자명 : 왕해옥, 김광웅
목차
I.서론
II.연구방법
III.결과 및 해석
IV.논의
참고문헌
영문초록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애착안정성, 학교적응과의 관계가 어떠한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3개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42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중다회귀분석, 단순회귀분석, 경로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첫째, 아동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애착안정성을 살펴볼 때 남아는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수용적이고 자율적일수록 애착안정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여아는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수용적이고, 자율적, 비과잉일수록 애착안정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학교적응을 살펴볼 때 남아, 여아 모두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수용적일 때 아동이 학교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애착안정성과 학교적응을 살펴 볼 때 남아는 어머니에 대한 애착안정성이 높을수록 학교적응의 교사관계, 학교 수업, 학교 규칙, 또래관계 순으로 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아는 어머니에 대한 애착안정성이 높을수록 학교 수업, 교사 관계, 또래 관계, 학교 규칙 순으로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애착안정성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남아의 경우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수용적이며 애착안정성이 높을수록 학교적응 중 교사 관계, 또래 관계, 학교수업에 적응을 잘하며 여아의 경우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수용적이며 애착안정성이 높을수록 학교적응 중 학교 수업에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 여 모두 어머니의 양육태도 보다 애착안정성 이 학교적응에 더 많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 attachment stability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424 children in 5th and 6th grades of 3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statistical program.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or each research proble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method were us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 and attachment, the more acceptable and autonomous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 was, the higher attachment was in the male group. In the female group, however, the more acceptable, autonomous and unexcessive the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 was, the higher was the attachmen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both of the male and female groups adapted well to the school when the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 was acceptable.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the higher attachment to the mother in the male group, they adapted well to the school in the following order: relationship with teachers, school class, school rule, and relationship with peers. In the female group, the higher attachment to the mother, their adaptation order was like these: school class, relationship with teachers, relationship with peers, and school rule.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 attachment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the more acceptable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 and the higher attachment, the male group could easily adapt to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peers, school class. In the female group, it made them adapt well to the school class. We found that attachment has more effects on school-related adjustment than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 for the male and female groups.
참고 자료
없음
"인간발달연구"의 다른 논문
더보기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