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슬라브족의 민중영웅 마르코 끄랄례비치(Marko Kraljević)의 ‘인간적 영웅’으로서의 면모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ㆍ수록지정보 : 구비문학연구
ㆍ저자명 : 김상헌
ㆍ저자명 : 김상헌
목차
1. 서론2. ‘인간적인 영웅’으로서의 마르코 끄랄례비치
3. 혈연관계를 통해 본 마르코 끄랄례비치
3.1. 출생과 형제관계
3.2. 아버지 부카쉰(Vukašin)과 어머니 예브로시마(Jevrosima)
3.3. 마르코 끄랄례비치의 결혼과 아내
4. 결론
한국어 초록
본고는 일반적인 영웅신화의 주인공들에게서 요구되는 인간과는 다른 신이한 능력이나 전투를 통해 드러나는 영웅적인 행동들이 아니라, 한 사람의 인간으로서 갖추어야 할 미덕이라는 측면에서 남슬라브 민족 공통의 민중영웅인 마르코 끄랄례비치를 고찰한다.마르코 끄랄례비치는 어린시절부터 가난하고 힘없는 민중들에 대한 애정을 보였으며, 그러한 애정과 사랑은 어머니와 아내에 대한 사랑으로 이어진다. 대부분의 남슬라브 지역 구비문학 작품들은 아버지와 마르코 끄랄례비치의 관계를 적대적인 관계로 묘사하고 있는데, 그러한 관계는 아들인 마르코에 의해 야기된 결과가 아니라는 점에서 마르코의 인간적인 미덕의 측면은 손상되지 않는다.
영웅은 그것이 드러내는 행위와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으며, 그러한 영웅을 주인공으로 삼고 있는 영웅신화는 신화와 전설의 공통적인 층위에 걸쳐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세르비아 민족의 역사에 실재했던 인물이면서 민중들에 의해 신격화되고 있는 남슬라브 민족들의 공통적 민중영웅인 마르코 끄랄례비치는 영웅신화의 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다. 마르코 끄랄례비치는 다양한 구비문학 작품들을 통해 때로는 군사영웅으로, 문화영웅으로, 종교영웅으로 우리들에게 다가온다. 그러나 그와 같은 분류에 반드시 추가되어야 할 것이 바로 ‘인간적인 영웅’으로서의 또 한 측면이다. 그가 지니고 있는 영웅성은 고대신화 속의 영웅과 중세신화 속의 영웅이 지니고 있는 특성들을 모두 포괄하고 있는데, 중세의 보편적 가치의 의미가 확대 재생산된 결과 ‘인간적 영웅’으로써의 면모가 특히 부각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영어 초록
Generally, we require supernatural abilities and heroic behaviors from the hero of a mythology, but this paper inquires into the common south slavic national hero, Marko Kraljević, from the aspect of his human being character.Marko Kraljević gave people in general a great affection from his boyhood, and his devotion and love to the people who are in poverty got connected to love toward his mother ‘Jevrosima’, and his wife ‘Jelena’. A great part of the south slavic oral literary works describe the relation between his father ‘Vukašin’ and Marko Kraljević by the hostility, but such relation is not caused by Marko Kraljević. Therefore his aspect of human being character cannot be damaged.
The heroic mythology can be classified by a behavior and a specificity that shows a hero in a literary work, and the heroic mythology that has such characters is located between a mythology and a legend. From that meaning, Marko Kraljević who was in the actual serbian history(1331-1395) and who is the object of deification from the south slavic people so far, could be said the hero of the south slavic heroic mythology. Marko Kraljević approaches to us sometimes like a military hero, a cultural hero, a religious hero by the oral literary work. But certainly, to this classification have to be added the aspect of ‘the hero like a human being’.
참고 자료
없음"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
동아시아 구비서사시 이론 구축을 위한 사례 점검(Ⅱ) : 티베트의 영웅서사시 <게사르>를 중심으로48페이지
수수께끼와 수수께끼담의 관련 양상42페이지
중세 동아시아의 괴뢰희 양상 : 천민 계층과 관련하여44페이지
예천 청단놀음의 대립 구조와 지역성28페이지
창작 판소리의 사적 전개와 요청적 과제26페이지
연행 및 전승 맥락에서 본 씻김굿의 예술성과 연희성 : 진도씻김굿을 중심으로 34페이지
아동의 이야기와 호랑이 설화의 내면화32페이지
열녀설화의 장르확산과 열녀 이미지의 변모과정34페이지
韓·中 科擧說話 비교 연구34페이지
동물 보은담에 갈무리된 공생적 동물인식과 생태학적 자연관4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