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장애 아동 어머니의 정신건강 개선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평가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사회복지행정학
ㆍ저자명 : 홍영수, 김재엽
ㆍ저자명 : 홍영수, 김재엽
목차
I.서론II.이론적 배경
III.연구방법
IV.프로그램 개발 과정 및 내용
V.연구결과 및 분석
VII.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영문초록
한국어 초록
발달장애 아동의 어머니는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으며, 이러한 스트레스는 우울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런데, 사회적 지지는 우울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에 대한 욕구를 기반으로 정신건강 개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실험집단에 적용하여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 프로그램은 실험집단(6명)과 비교집단(7명)을 갖춘 비동일 통제집단 설계방법에 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진단초기에 있는 재활병원의 입원 아동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들의 우울을 감소시킴으로써 정신건강을 개선시킨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 프로그램은 일반화에 있어서 제한점을 가지고 있기는 하나, 사회사업 실천가들이 현장에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효과성을 입증함으로써,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에 대한 조기개입 방법을 제시하고 나아가 사회사업실천활동의 책임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영어 초록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experience high level of stress. And this stress can cause depression. On the other hand, social support is known to have effect on reducing depression caused by excessive stress. In this regar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the medical and psychosocial needs of the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and was intended to develop mental health improvement program based on the review, and apply it to the experimental group to assess its effectiveness. The program was applied to the mothers with children hospitalized in the rehabilitation center having been diagnosed as having an early-stage development disorder. The program was designed based on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s designs having an experimental group(comprised of six persons) and a control group(comprised of seven persons). The study showed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reducing depression, and in particular, reducing the negative attitude among the sub-dimension of depression. Though there are some limitations for generalization, this could have significance from the social work practice perspective.참고 자료
없음"한국사회복지행정학"의 다른 논문
사회복지조직에서의 윤리적 의사 결정 : 비판적 사고 모형의 적용23페이지
정신보건전달체계의 운영측면에서의 현황분석과 개선방안 :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의 영역과 범위를 중심으로31페이지
사회복지관 조직문화와 사회복지사 임파워먼트23페이지
조직특성이 사회복지관들의 상호협력에 미치는 영향26페이지
사회복지관 조직성과의 변화에 관한 연구 : 2000년과 2001년 사회복지관 평가결과에 대한 비교 ..26페이지
정부간 복지행정의 기능배분과 복지분권의 과제32페이지
지방분권과 사회복지의 지역간 형평성 : 정부간 사회복지 재정배분체계의 재구조화27페이지
신장장애인의 경제활동 분석 : 경제활동참여확대를 위한 정책 및 행정적 방안 논의25페이지
의료사회사업의 표준, 기준,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25페이지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2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