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 문장제 검사를 통한 경도정신지체아동의 지능과 근접발달대의 상관관계 분석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발달장애학회
ㆍ수록지정보 : 발달장애연구
ㆍ저자명 : 최중옥, 최성규
ㆍ저자명 : 최중옥, 최성규
목차
I.서론II.정신지체아동의 근접발달대와 학습전이
III.연구방법
IV.결과
V.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한국어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지체아동의 지능과 근접발달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함이었다. 검사도구로 사용된 연산 문장제 검사 12문항은 학습과 관련된 6문항과 전이를 요하는 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대상은 지능지수가 75에서 50사이의 경도정신지체아동 20명이었다. 연산 문장제 문제를 해결하는 동안 제공된 단서량과 소요된 시간량을 측정한 결과, 학습 문항과 전이 문항을 해결하는데 제공된 단서량과 시간량은 정신지체아동의 지능과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또한 정신지체아동의 지능은 근접발달대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정신지체아동의 잠재능력 개발은 지능지수에 의한 예견보다는 적절한 교육방법의 제시와 전략적 접근이 우선되어야 함을 본 연구는 시사하고 있다.영어 초록
Most educators who are working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may have an interest in effective education methods and strategies to improve latent ability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correlation between intelligibility and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ZPD). The story problems with operation which are consisted with twelve questions(six learning and six transfer questions) were developed for the research. The reliability of the test material was obtained through test-retest correlation coefficient by using three different elementary grades. 105 children who are in attendance at the second, third, and fourth grades. The test-retes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79. Twenty eleven- to twelve-years mental retarded children who are IQ of 75 to 50. When the mental retarded children were solving the questions, the number of hint and the amount of time were measured. In order to test correlation and correlation coefficient, ANOVA and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tilized to measure two research hypotheses. The result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intelligibility and the number of hint and the amount of tim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01 level. Also, the result of correlation coeffici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refore, this research concluded that the intelligibility is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not related with the ZPD. It means that latent ability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is related with effective education methods and strategies rather than intelligibility itself.참고 자료
없음"발달장애연구"의 다른 논문
장애영유아의 가족중심-개입을 위한 방향15페이지
또래지도 전략 독해학습장애아의 독해력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20페이지
장애지체인의 원조요구행동의 형성과 일반화에 관한 연구8페이지
장애아동 부.모의 스트레스 분석12페이지
인형극을 통한 장애인식 중재의 효과14페이지
장애아의 상대적 의미에 관한 일고찰 : 異類의 象徵分析을 통하여10페이지
아동심리 진단자 교육내용에 관한 연구17페이지
CAI가 발달장애유아의 문자변별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16페이지
특수교육 특성화와 질적발전을 위한 실험학교 지정과 운영에 관한 기초연구22페이지
장애인의 인지과정 연구를 위한 PASS 모형과 계획기능의 개념 분석1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