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들이 가정에서의 문해경험과 문해발달 수준간의 관계 : 만 4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주)학지사
- 최초 등록일
- 2015.03.24
- 최종 저작일
- 1998.01
- 22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5,1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ㆍ수록지정보 : 인간발달연구 / 5권 / 1호
ㆍ저자명 : 김태선, 최보가
목차
연구에 사용된 용어의 정의
이론적 배경
연구방법
연구결과 및 해석
논의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만 4세 유아 刃명과 그들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하여 유아들이 가정에서 경험하고 있는 문해 경험들을 살펴보고 이들 경험들과 유아의 문해발달 수준 간의 관계를 보았으며, 또한 유아의 성별에 따른, 그리고 어머니의 교육 수준과 어머니의 직업 유무에 따른 유아들의 문해발달 수준의 차이, 문해 경험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유아의 문해발달 수준은 읽기 기술, 쓰기 기술, 문자 언어에 대한 지식, 이해 능력의 4영역에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유아들이 가정에서 경험하고 있는 문해 경험들은 유아에 따라 상당히 다양하였으며, 문해 경험과 문해 발달과는 유의적인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문해 발달은 유아들의 가정에서의 경험과 관계가 있다. 그러나 가정에서의 문해 경험이 문해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문해 발달의 영역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유아들의 성별에 있어서는 여아들이 남아들보다 문해능력이 더 우수했으며, 가정에서 문해경험도 더 많이 하고 있었다. 어머니의 교육 수준과 어머니의 직업 유무에 따른 문해 발달 수준과 문해 경험에 있어서는 유아들 간에 차이가 없었다.
참고 자료
없음
"인간발달연구"의 다른 논문
더보기 (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