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도당굿 화랭이 이용우(1899-1987)의 구비적 개인사
(주)학지사
- 최초 등록일
- 2015.03.24
- 최종 저작일
- 1994.01
- 30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5,9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ㆍ수록지정보 : 구비문학연구
ㆍ저자명 : 김헌선
목차
1. 머리말
2. 이용우의 내력과 가계
3. 이용우 구비시의 창작적 원천 두 가닥
4. 이용우 가계의 예능집단적 특징
5. 마 무 리
한국어 초록
경기도 도당굿은 세습무인 화랭이가 도맡아 하는 마을굿이다. 집굿과는 다르게 화랭이가 직접 참여하는 굿거리가 따로 마련되어 있고 예전에는 대규모의 화랭이패들이 도당굿에 참여하였던 사실로 미루어 보건대 도당굿에서 화랭이의 구실은 거의 절대적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도당굿의 특징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세습무인 화랭이집단에 대한 이해가 시급하게 필요하다. 그런데 화랭이집단의 구체적 연구는 진척되지 않았고 세습무계의 연구 또한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전통적인 화랭이집단이 급격하게 와해되면서 이제 그 흔적조차 찾을 길이 없는 상태에서 화랭이집단을 연구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기도 하다.
본고는 화랭이 집단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자각한 중간보고서에 해당한다. 기왕에 경기도 도당굿을 현장에서 미흡하나마 관찰해서 논한 바 있다. 이때는 주로 도당굿의 제차와 창자의 문서 분석에 충실을 기하고자 했으나, 정작 화랭이집단이나 주연행자인 화랭이의 연구는 진행시키지 못한 아쉬움이 있었다. 다만 잠정적으로 세습남무의 구실에 주목하면서 충실한 문화운반자로서의 직능에 어떤 기대감을 결론적으로 표한 바 있었다.
참고 자료
없음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
더보기 (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