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환경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중산층 아파트 거주 주부들 대상으로-
(주)학지사
- 최초 등록일
- 2015.03.24
- 최종 저작일
- 1990.01
- 22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5,1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주거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1권 / 2호
ㆍ저자명 : 이연숙, 박은선
목차
I.서론
II.문헌고찰
III.연구방법
IV.조사결과 및 논의
V.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주거환경에 대한 현재의 만족과 같은 반응은 거주자들의 특성 및 그들이 가지고 있는 과거의 경험에 근거한다. 이는 똑같은 하나의 객관적인 실체로서의 주거를 각기 다르게 표현하고 이에 다르게 대응하고 평가한다는 사실에서 쉽게 증명된다. 주거환경에 대한 과거의 경험은 단순히 현재주택에 대한 만족도만을 가름하는데 그치지 않고 현재 주택의 가구와 사물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기도 하며 미래주택의 디자인 및 구조의 우선 순위 결정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침으로써(Lawrence, 1983), 현재 생활에서의 의사결정은 물론 미래계획의 기본적 배경이 된다. 따라서 미래주택이 주관적 실체로서 인간을 위한 공간이 되기 위해서는 공간사용자의 현재의 주거환경 경험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즉 과거의 주거환경경험은 현재의 평가와 만족, 미래 욕구의 기본이 되는 주요 기반으로서, 주거문화의 맥을 잇고 그것을 형성하는 기초단위로서 중요하다 하겠다. 그러므로 주거환경경험의 내용을 개인의 주관적 표현에 의해 동적으로 파악하여, 과거주택들로부터 현재 주택에 이르기까지 그들의 기억에 남아있는 주거환경자극과 그에 대한 반응, 즉 주거환경과 인간과의 상호작용적 관계를 포괄적으로 다룸으로써 거주자 측면에서 본 주거환경의 질적요소를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탐색적 시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중산층 주부의 주거환경 경험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서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이 생활하였던 주택의 유형을 파악한다. 둘째, 주거환경경험의 내용중 언급된 환경적 자극과 그에 대한 반응을 파악한다. 셋째, 경험한 주택유형별로 많이 언급된 주거환경 자극을 파악한다.
참고 자료
없음
"한국주거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
더보기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