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균 시의 구조화 원리 연구- 정서와 이미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국제비교한국학회
ㆍ수록지정보 :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2권 / 2호
ㆍ저자명 : 오형엽 ( Hyung Yup Oh )
ㆍ저자명 : 오형엽 ( Hyung Yup Oh )
한국어 초록
이 글은 ‘정서와 이미지의 상관성’을 기준으로 김광균 시의 특질을 세밀히 분석하여 그 구조화 원리를 탐색하고자 한다. 김광균 시에는 ‘정서-이미지’의 상관 항으로서 크게 ‘대낮’의 시간성과 결부되는 ‘건조한 정서-조형성의 이미지’ 조합, ‘저녁’의 시간성과 결부되는 ‘멜랑콜리의 정서-불투명성의이미지’ 조합이 차별적으로 등장한다. 김광균은 작품의 내적 시간성 속에서 ‘건조한 정서-조형성의 이미지’ 조합을 먼저 시도하지만, 이 시도가 허물어지면서 ‘멜랑콜리의 정서-불투명성의 이미지’ 조합이 더 큰 비중을 가지고 등장하게 된다. 이와 함께 핵심적 이미지가 ‘대낮’의 시간대와 결부되는 ‘조형성’의 형태적 이미지에서 ‘저녁’의 시간대와 결부되는 ‘황혼’,‘등불-안개’ 등의 색채적 이미지로 전환된다. 김광균 시의 특질로서 ‘건조한 정서-조형성의 이미지’가 ‘멜랑콜리의 정서-불투명성의 이미지’로 이동하는 양상과 관련된 구조화 원리는 다음두 가지 초점으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시적 형식의 차원으로서 ‘조형성의이미지’가 무너지고 ‘불투명성의 이미지’가 등장하면서 경계가 지워지며 흐려지는 부분은 ‘실재의 부정적 묘사’라고 부를 만한 성격을 가진다. 둘째, 시적 내용의 차원으로서 ‘건조한 정서’가 사라지고 ‘멜랑콜리의 정서’가더 큰 비중을 차지하면서 ‘화자의 정서 표출이 강화되는 부분’에서 시의주제적 차원이 탈은폐되면서 노출된다. 정신분석적 ‘승화’ 개념을 ‘멜랑콜리’ 개념과 결부시키면, 대상을 숭고한 실재적 사물의 차원까지 고양하는 ‘승화’와 그것이 무너지고 추락할 때발생하는 ‘멜랑콜리’는 일단 상호 대립적 관계에 놓여있다고 볼 수 있다. ‘승화’와 ‘멜랑콜리’ 사이의 간극 및 공백을 메우는 것은 바로 심리적 현실로서의 ‘실재’이다. 이 글이 분석한 시간성에 따른 ‘정서-이미지’의 상관항으로서 ‘건조한 정서-조형성의 이미지’ 조합에서 ‘멜랑콜리의 정서-불투명성의 이미지’ 조합으로의 이동은 ‘승화’가 ‘멜랑콜리’로 전이되는 과정으로 재해석될 수 있다. 여기서 유의할 부분은 ‘멜랑콜리’에 ‘승화’의 지향성이 잔존해 있고 혼융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하여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김광균 시에 등장하는 ‘등불’은 ‘승화’와 연관되고, ‘안개’는 승화가 추락할때 겪는 ‘멜랑콜리’와 연관된다. 따라서 ‘등불’과 ‘안개’가 결합된 ‘불투명성의 이미지’는 승화와 멜랑콜리의 결합물, 좀더 정확히 말한다면, ‘승화가침잠된 멜랑콜리’로도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이 글은 김광균 시에서 회화적 이미지의 조형성과애상적 감상성이 공존하여 모순을 야기한다는 기존의 평가와는 달리, ‘정서와 이미지의 상관성’에 따른 두 계열의 조합이 차별성을 가지고 존재하고, 작품의 내적 시간성에 따라 이동하면서 ‘등불’과 ‘안개’가 결합된 ‘불투명성의 이미지’를 통해 ‘승화가 침잠된 멜랑콜리’를 형성한다는 사실을 밝히려 했다. 이를 통해 김광균 시에서 ‘정서와 이미지의 상관성’에 따른 두 계열 중 ‘대낮의 시간성-건조한 정서-조형성의 이미지’ 계열이 주로 형상화되는 경우, 향일성 및 형태의 사상성과 함께 원근법적 구도, 기하학적이고 건축학적인 구성, 공감각적 이미지 등을 통해 입체적 공간성을 확보했다는 평가가 가능해 진다. 그리고 ‘저녁의 시간성-멜랑콜리의 정서-불투명성의 이미지’ 계열이 주로 형상화되는 경우, 승화가 침잠된 멜랑콜리의 정서를 ‘실재의 부정적 묘사’라는 방식으로 형상화하여 실재의 사건성을 현재적으로 체험하고 시적 내용으로서 사유 및 정서에 투신했다는 평가가 가능해 진다.영어 초록
This writing wishes to analyze Kim Gwang-Gyoon’s poetry in a viewpointof ‘interrelationship of emotion and image’ and search it’s structural principle. Time of ‘high noon’ result link ‘dry emotion-modeling image’ association, timeof ‘evening’ result link ‘melancholie emotion-opacity image’ association appearsgreatly as ‘interrelationship of emotion and image’ In Kim Gwang-Gyoon’spoetry. Kim Gwang-Gyoon attempts first ‘dry emotion-modeling image’association, but ‘melancholie emotion-opacity image’ association has larger weightas this attempt is pulled down. Also, central image is converted by color imageof ‘dusk’ and ‘light-fog’ that is linked with time zone of ‘evening’ in fromfomations image of ‘modeling’ that is linked with time zone of ‘afternoon’. Structural principle in Kim Gwang-Gyoon’s poetry can be arranged tofollowing two foci related to aspect that ‘dry emotion-modeling image’ associationmoves as ‘melancholie emotion-opacity image’ association. As the first focusis dimension of poetic form, as opacity image appears after that modeling image``is pulled down, the border is removed and something that is equivocated haspersonality which is worth ‘negative description of real’. As second focus isdimension of poetic contents, dimension of main subject disclose in ‘speaker’semotion is solidified’ as ‘dry emotion’ vanishes and ‘melancholie emotion’ accounts for larger weight. If psychoanalysis’s ‘sublimation’ concept is linked with ‘melancholie’ concept,we can think that was put in conflicting relation mutually between ‘sublimation’that exalt target to dimension of noble thing and ‘melancholie’ that happenwhen it collapses and falls. To fill gap and blank between ‘sublimation’ and‘melancholie’ is ‘real’ as psychological reality be. The movement from the formerto the latter as correlation of ‘emotion-image’ by time that this article analyzescan be reinterpreted in process that ‘sublimation’ is changed as ‘melancholie’. We must keep in mind here that directivity of ‘sublimation’ has survived andmix in ‘melancholie’. In psychoanalysis’s concept, ‘light’ is involved with‘sublimation’, and ‘fog’ is involved with ‘melancholie’ that suffer whensublimation falls. Therefore ‘opacity image’ that ‘light’ and ‘fog’ are combinedcan understand by conjoiner of sublimation and melancholie. If say more correctly,we can understand as ‘melancholie that sublimation is deposited’.참고 자료
없음태그
"Comparative Korean Studies"의 다른 논문
자유시, 그리고 “격조시형”이라는 “장치”의 탄생39페이지
K-POP 한류와 산업적 이해관계 -중국과 일본 사례 비교분석-39페이지
공공기호의 가치표식과 번역성: 해운대의 기초사례연구51페이지
박인환 시에 나타난 언어적 불안과 부끄러움-한국전쟁을 중심으로35페이지
현대시의 물 상상력에 나타난 노자적 사유 연구32페이지
1970년대 소설과 강간당하는 여성32페이지
한국과 유대의 추녀변신설화 속의 통과의례에관한 비교문학적인 고찰: 「지혜로운 추녀」와「얽고 검은 고..37페이지
전후 여성교양과 문학사 연구의 실천성 확보를 위한 시론25페이지
김현 비평의 아도르노 미학 수용 양상 연구31페이지
1920년대 후반~1930년대 초반 조선영화 비평사 재검토2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