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상(韓國思想) 사학(史學) : 정경운(鄭慶雲)의 전쟁 체험과 일본 인식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68권
ㆍ저자명 : 방기철 ( Ki Cheol Bang )
ㆍ저자명 : 방기철 ( Ki Cheol Bang )
한국어 초록
鄭慶雲은 曹植의 수제자인 鄭仁弘으로부터 학문을 배운 만큼 南冥學派의 일원이었다고 할 수 있다. 임진왜란 당시 의병활동을 한 인물 상당수가 조식의 제자였던 것처럼, 그 역시 의병봉기를 통해 국난극복에 힘을 보태려 하였다. 그는 의병 활동을 한 경험이 있기 때문인지 관군에 대해서는 부정적 시각을 나타냈다. 반면 자신이 명군으로부터 많은 피해를 입었지만, 명의 도움을 조선이 살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생각하였다. 이런 모습은 그가 모든 면에서 명이 조선보다 우월하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정경운은 명이 일본과 강화를 통해 전쟁을 마치려는 것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대했다. 만약 강화가 이루어진다면 명 뿐 아니라 조선도 외교 주체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일강화를 통한 종전을 반대했던 만큼 일본과의 국교재개에 대해서도 강하게 반대했다. 이처럼 일본과의 대화를 부정했던 것은 華夷論에 입각하여 일본을 夷狄視하였던 조식의 일본관에 일정한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정경운은 전쟁 중 피난생활을 했으며, 가족 중 상당수가 전쟁 중 목숨을 잃었다. 때문인지 일본에 대해서는 강한 적대감을 나타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일본의 군사제도와 토지제도의 우수함, 일본인의 장점 등을 인정하기도 했다. 이러한 모습은 일본의 침략이 조선인에게 일본에 대해 보다 관심을 가지게 하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정경운이 일본관이 변한 것은 아니었다. 그는 일본의 긍정적인 면을 일부 인정했지만 일본을 낮게 평가한 전통적 일본관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못하였다.영어 초록
Jeong Gyeong Wun was a member of the Nammyeong school, as a student of Jeong In Hong who was the best pupil of Jo Shik. At the time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many figures of righteous armies were Jo Shik`s disciples. He also tried to force to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by patriotic uprising. His experience of righteous army seems to give him a negative view of the official army. On the contrary, despite of a lot of damage from the army of Ming, he thought Ming`s support indispensable. It demonstrates that he had thought Ming was superior to Chosun in all aspects. Jeong Gyeong Wun opposed actively to finish the war by a peace treaty with Japan. In that cas, he asserted that Chosun would take the lead of peace as well as Ming. As an opponent of the peaceful end of war, he also opposed energetically the resumption of diplomatic relationship. In my understanding, his negative opinion about the conversation with Japan, in a certain degree, came from Chosun`s general perception of Japan founded on theory of the civilized and the barbarians. Jeong Gyeong Wun had a experience of flee during the war, and lost most of his family. Maybe his personal tragedy gave him a strong hostility toward Japan. Nonetheless, he admitted the superiority of Japanese military and land system over time. This shows that the Japanese invasion provided Chosun`s people the opportunity to get interested in Japan. But His view of Japan was not changed. He recognized some positive side of Japan. But it did not mean that He threw out the traditional consideration of Japansese as an inferior country.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곽희(郭熙)의 『임천고치(林泉高致)』에 나타난 “원(遠)”의 의경(意..26페이지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동,서양 이상적 인간상의 가치규범: 충서(忠恕)와 Noblesse o..24페이지
한국사상(韓國思想) 철학(哲學) : 난계(蘭溪)의 노년(老年)사상32페이지
한국사상(韓國思想) 철학(哲學) : 『논어집주(論語集註)』에 내재한 주자(朱子)의 효사상(孝思想)26페이지
한국사상(韓國思想) 사학(史學) : 계봉우(桂奉瑀)의 민족운동 초기 활동과 『오수부망(吾讐不忘)』의..30페이지
한국사상(韓國思想) 사학(史學) : 고려시대산관(高麗時代算官)에 관한 일고찰32페이지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한국 하동과 중국 황산의 차문화관광 비교연구21페이지
한국사상(韓國思想) 철학(哲學) : 주자학의 철학 치료적 의미 -『주자어류』를 중심으로-24페이지
한국사상(韓國思想) 철학(哲學) : 한국 불교에 있어서의 돈점논의와 운봉대지(雲峰大智)선사23페이지
한국사상(韓國思想) 철학(哲學) : 삼성(三聖)의 효사상의 요체와 인성교육의 원두처(原頭處)2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