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보 사회시
- 최초 등록일
- 2012.04.09
- 최종 저작일
- 2011.07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두보작품을 통해 느낀점 및 감상, 두보시 형성배경을 두보의 생애를 통해 알아보았고, 두보사회시의 변화과정을 연도별로 정리함. 두보사회시의 의의에 대해 서술.
목차
1. 杜甫 사회시 형성배경
2. 杜甫 社會詩의 변화 과정
3. 杜甫 사회시의 의의
본문내용
[두보 작품을 통해 느낀점과 감상(2매)]
旅夜書懷(여야서회)
적막하고 쓸쓸한 자연환경들을 통해 외롭고 쓸쓸한 화자의 마음을 드러냈다. 고향을 떠나 천지를 떠돌아 다니는 자신을 홀로 밤 지새는 배와 천지사이의 한 마리 갈매기로 비유하면서 표현한게 천지를 떠돌아 다니는 나그네, 두보의 심정이 깃들어 있는 것 같다. 두보의 시에 늙고 병든 몸이라는 단어가 많이 사용되는데 그 때문에 두보의 처절한 심정이 더욱 강조 되는 듯 하다. 두보가 평생의 업으로 생각하는 벼슬의 뜻도 이루지 못하고 가족과 떨어져 늙고 병든 몸으로 이곳 저곳 기식하는 두보의 처지가 안타깝다.
登高(등고)
바람은 세고 하늘은 높은 적막한 풍경 속에 원숭이 울음이 애절하다. 나뭇잎은 우수수 떨어지고 물은 도도히 흐른다. 지나치게 쓸쓸하고 적막한 상황에서 홀로 높은 곳에 오른 늙은이는 적막하지만 변함없이 흘러가는 세월과 자연이 원망스럽고 한스러운 듯하다. 이 시에서는 늙고 병들어 가는 두보와는 달리 변함없는 자연이 대비되어 두보의 한스러움이나 복잡한 심경이 잘 나타나는 듯하다.
登岳陽樓(등악양루)
참고 자료
杜甫詩選, 김의정, 문의재, 2002.
재미있는 한시 이야기2, 정관호, 삶과꿈, 2005.
두보시선, 이종한, 계명대학교출판부, 2000.
이백, 두보를 만나다, 다카시마도시오, 심산문화, 2003.
중국문학의 주제탐구, 문지성 외, 한국문화사, 2004.
李杜詩新評, 손종섭, 정신세계사,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