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여자대학교 기본간호학 요약본 (12단원 활력징후 / 19단원 활동과운동) 중간고사 대비자료_간호학과 2학년 A0
- 최초 등록일
- 2024.08.23
- 최종 저작일
- 2024.04
- 40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3,000원
* 본 문서는 PDF문서형식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소개글
경인여자대학교 간호학과 2학년
기본간호학: A0
2학년 1학기 총 학점: 4.0 / 4.5
경인여대 간호학과 기본간호학I 중간고사 대비 요약본입니다.
참고자료
기본간호학1 12단원(227P~263P) 활력징후
기본간호학2 19단원(30P~105P)활동과 운동
목차
1. 활력징후
2. 체온(Body temperature. BT)
3. 체온측정기구와 방법
4. 체온조절
5. 부동으로 인한 영향
본문내용
2주차 – 활력징후(체온)
건강-질병 연속성은 개인의 인지된 건강 수준을 측정하는 수단으로서, 건강은 고도의 안녕과 죽음이라는 양극 사이에서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상태를 말한다.
1. 활력징후
1. 활력징후의 정의 및 필요성, 측정시기
1) 정의
• 대상자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사정의 기본요소로서 인간의 체온, 맥박, 호흡, 혈압을 의미함
* 건강상태의 지표로서 혈액순환, 호흡, 신경, 내분비 기능의 효과를 반영하는 매우 중요한 활력징후(vital sign)이다.
I. 체온 (Body Temperature: BT)
II. 맥박 (Pulse Rate: PR or P)
III. 호흡 (Respiration Rate: RR or R)
IV. 혈압 (Blood Pressure: BP)
최근 통증과 맥박산소측정기(pulse oximeter)를 포함하기도 함
활력징후의 측정은 대상자의 상태를 관찰, 문제 확인, 중재에 대한 대상자 반응을 평가하는데 가장 빠르고 효과적인 방법
2) 필요성
• 인체의 생명유지에 중요한 심,폐 기능의 상태를 반영하는 지표이기 때문
• 건강에 변화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객관적인 자료임
3) 측정이 필요한 경우
① 의료기관의 입원 시
② 의사의 지시에 의한 정규절차에 따라
③ 외래진료실, 건강관리진료실 방문 시
④ 모든 수술과 침습적 절차 전•후
⑤ 위험한 진단적 검사 전•후
⑥ 심혈관계, 호흡기능에 영향을 주는 약물의 투여 전•후
⑦ 전신적 상태의 악화 시
⑧ 이상증상 및 신체적 고통을 환자가 호소 시
⑨ 활력징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간호중재의 전•후
⑩ 수혈 전•중•후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