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시추가 공통 인간과교육 생활지도의 주요 활동에 관해 설명하고 현재 교육장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생활지도의 현황과 문제점
- 최초 등록일
- 2024.12.10
- 최종 저작일
- 2024.12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400원
목차
1. 서론
2. 본론
1) 생활지도의 정의 및 주요 활동
2) 생활지도의 현황 및 문제점
3) 개선 방안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학교는 사회의 축소판이라는 말이 있다. 같이 공부하고, 또래 친구와 이야기하는 것뿐만 아니라 훗날 사회에서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이러한 살아가는 법을 알려주기 위해서 교사들은 교육 현장에서 생활지도를 활용한다. 생활지도는 개개인을 대상으로 하지만, 넓게 보면 교육활동, 더 나아가 학급, 학교의 정체성과 분위기를 형성하는 데에도 이바지한다. 하지만 학생들의 경우 아직 신체적・정신적으로 미성숙한 시기이기 때문에 생활지도에 대한 정확하고 올바른 이해가 선행되지 않는다면 효과가 떨어지거나 지도에 불응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다양한 배경과 성향, 특징을 가진 학생들이 함께 있기 때문에 일률적인 생활지도 방법은 그다지 큰 효과를 보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생활지도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2. 본론
1) 생활지도의 정의 및 주요 활동
생활지도는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해결해야 할 여러 가지 문제 즉, 교육적・가정적・사회적・직업적・신체적・도덕적・정서적 문제를 자력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며, 개인마다 가지고 있는 흥미・적성・능력・성격 등 인격적 특성과 잠재력을 이해하고 발견하도록 하여 이를 최대한 발전시켜 나가며, 개인에게 합리적인 사고와 의사결정을 통하여 현명한 선택과 적응을 위하여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봉사
참고 자료
김성기.(2023). 학생생활지도 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교육법학연구, 35(2), 57-77.
박효정.(2002). 학교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II) : 중고등학교 생활지도를 중심으로(RR2003-03). 한국교육개발원.
박형근 외(2016), 교육심리학, 파주: 양서원.
한국교총, “교원의 정당한 생활지도 아동학대 면책권 부여 법안 발의 환영”, 보도자료, 2023.
https://www.edulabkorea.com/reference/general.php?ptype=view&idx=903&page=1&code=gener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