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개항이후, 해방 이전의 문학사 간략히 서술하기
-문인,문단,문학사조,매체 등의 관점으로 서술
-수업 자료 및 교재 내용을 참고하여 다음중 한 시기를 선택하여 작성
1)1900년대, 3.1운동 이전
2)3.1운동 이후, 1920년대
3)1930년대
cf.과제만점
목차
없음
본문내용
3·1운동은 비록 실패로 좌절되었지만 이후, 1920년대에는 이른바 ‘동인지 시대’라 불리는 문 학장이 형성되었다. 대중교육이 확대되고 민간신문과 잡지의 간행이 허용되었으며 도서관의 등 장으로 인해 문학을 접하는 독자층이 확대되고 전문작가가 등장했다. 인쇄매체의 비약적인 발 전으로, 작품 발표의 공간으로서 잡지와 신문이라는 매체가 문학장으로 자리 잡자, 출판매체를 중심으로 같은 성향의 작가들이 교류하는 동인지가 생겨났다. 이 동인지를 중심으로 1920대 한 국 근현대문학사의 흐름을 살펴보려고 한다. 1920년대 동인지 시대의 대표적 매체는 『창조』, 『폐허』, 『백조』 그리고 『개벽』과 『조선문단』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그 흐름을 살펴보면 개항과 더불어 서구의 오랜 문물이 한꺼번에 수입되면서 1910년대의 계몽주의에 맞서 자연주의와 사실주의, 낭만주의 문학이 도래 하다가, 식민 침탈의 수난으로 억압된 삶이 문학을 통해 표출되며 신경향주의 문학이 등장한다.
참고 자료
김영민, 2002.02, 동인지 『창조』와 한국의 근대소설, 한국문학연구학회, 18권
지은경, 2004.06, 한국 현대시의 사회적 변화상 수용 연구(- 1920년대 시를 중심으로 -), 중앙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진설아, 2004.12, 1920년대 동인지 문학 연구(- 창조 , 폐허 , 백조 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102회 석사학위논문
최현희, 2007, 1920년대 초 한국문학과 동인지 『廢墟』의 위상,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1권(pp. 283~305)
정우택, 2009.12 , 『문우』에서 『백조』까지 -매체와 인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47권(pp. 35~65)
장부일, &조남철&이상진. , (2011), 한국근현대문학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이종호, 2017.04, 『장미촌』의 사상적 맥락과 정치적 함의, 반교어문학회, 51권(pp. 191~233)
박현수, 2020.12 , 1920년대 전반기 미디어와 문학의 교차: 필화사건, ‘문예특집’, ‘문인회’를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74권(pp. 295~331)
박현수, 2021.03, 동인지와 프로 ‘문학’의 사이, 그리고『개벽』,성균광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13권(pp. 161~194)
박현수, 2022.11, 늦게 발행된 동인지 ―1920년대 전반기 문학 장과 『백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97권(pp. 347~3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