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대학교]컴퓨터구조_출석수업_평가과제(30점 만점)
- 최초 등록일
- 2023.04.09
- 최종 저작일
- 2022.12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1. 다음 그림을 보고 유효주소와 AC에 적재되는 값을 넣고, 어떻게 계산이 되는지 [상세히] 설명하시오
2. 교재의 제어단어 내역표를 보고 제어단어를 완성하고, 풀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시오.
1) 마이크로 연산
2) 제어단어
3) 풀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출석수업 자료를 참고하여 아래 표를 추가로 준비했다.
4) 위 사항들을 토대로 문제 풀이를 해보면 아래와 같다.
5) 결론적으로 주어진 문제를 종합해보면 아래 표와 같이 제어단어를 나타낼 수 있다.
본문내용
주어진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PC(Program Counter)에 550이라는 주소 번지가 지정되어 있다. PC는 프로그램의 시작 주소를 알고 있는 레지스터이며, 명령어가 수행되면 PC가 다음 주소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해당 프로그램의 시작 주소는 550임을 나타내며, 기억장치의 550번지로 찾아가 보면 연산코드와 주소 지정방식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연산코드는 문제에서 주어진 대로 'AC에 적재하라'는 것이 2진수로 바뀌어있을 것이고, 주소 지정방식에는 문제에서 나열된 '직접주소', '즉치주소' 등과 같은 mode들이 역시 2진수로 바뀌어서 들어있을 것이다.
550번지의 명령어가 수행되면 PC는 551번지를 가리키게 되는데, 기억장치 내부에 있는 숫자 데이터들은 주소(ADRS)로 사용될 수도 있고, 값(NBR)으로도 사용될 수도 있는데, 값으로는 주어진 700이 사용될 것이다. 주소 지정방식을 하나씩 살펴보면 상단의 오른쪽 그림 및 아래 설명과 같다. 여기서 유효주소는 주소 지정방식의 각 규칙에 의해 정해지는 오퍼랜드의 실제 주소를 나타낸다.
① 직접 주소 지정방식(Direct-addressing mode)은 명령어의 주소필드에 직접 오퍼랜드의 주소를 저장시키는 방식으로 AC ← M[ADRS]이며, 700이 주소로 사용되어 메모리의 700번지의 값인 900이 AC에 적재된다.
② 즉치 주소 지정방식(Immediate mode)은 주어진 값을 그대로 옮기는 방식이기 때문에 AC ← NBR이 되어 AC에는 기억장치 551번지의 700 데이터가 적재된다.
③ 간접 주소 지정방식(Indirect-addressing mode)은 주소에 들어있는 값을 한 번 더 주소로 사용하는 것으로 AC ← M[M[ADRS]]이 되어 메모리의 700번지의 값인 900이 다시 주소로 사용되어 기억장치의 900번지의 값인 950이 AC에 적재된다.
참고 자료
없음